[아시아경제 임철영 기자]원유를 기초자산으로 발행된 파생결합증권(DLS) 투자자들이 올 상반기에만 3000억원이 넘는 원금 손실을 봤다.
더불어민주당 박용진 의원(국회 정무위)은 11일 금융감독원에서 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올해 1∼6월 원유 DLS에서 확정된 손실이 3178억원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이는 작년 한 해 동안 원유 DLS에서 생긴 손실액(701억원)의 4배가 넘는 수준이다.
원유 DLS는 원유 가격의 움직임에 따라 손익이 결정되는 파생상품이다. 일반적으로 3년의 가입 기간에 원유 값이 가입 당시보다 40∼50% 이상 폭락하지 않으면 은행 예금보다 높은 수익을 올릴 수 있다.
다만 원유 가격이 당초 설정된 기준치 밑으로 떨어지면 큰 손실을 피하기 어려운 고위험 상품이다. 2014년까지 배럴당 100달러를 넘던 서부텍사스산원유(WTI) 원유 가격은 지난 2월11일 26.21달러까지 추락했다. 현재는 낙폭을 일부 회복했지만 여전히 배럴당 40달러 초반에서 움직이고 있다.
박 의원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최근 수년간 금융사들은 일반 투자자들에게 이 상품을 적극적으로 팔고 있다"며 "원유 DLS의 상품 구조상 국제 유가가 배럴당 80∼90달러 선까지 회복되지 않으면 아직 만기가 되지 않은 원유 DLS에서도 지속적인 손실이 날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지난 6월 말 기준으로 원유 DLS 발행잔액은 1조498억원이다. 손실이 커지면서 원유 DLS 판매 증권사를 상대로 한 투자자 민원이 급증하는 추세다. 올해 상반기 DLS와 관련해 금감원에 접수된 금융소비자 민원은 45건으로 작년 한 해 동안 제기된 건수(46건)에 육박했다.
민원인들은 증권사 창구 직원들이 DLS의 이익과 손실 구조에 관한 설명을 제대로 하지 않은 채 '웬만하면 손실이 나지 않는 안정적인 상품'이라면서 가입을 권유했다고 주장하고 있다. 일부 투자자들은 증권사를 상대로 법적 다툼에 들어갔다.
박 의원은 "투자 경험이 부족한 일반 투자자들에게 원유 DLS 같은 고위험 파생상품을 우리나라처럼 대량으로 판매한 데는 전 세계에서 찾아볼 수 없다"며 "단일 금융상품에서 수천억원의 손해가 발생한 사태인 만큼 금감원이 불완전 판매 여부에 관한 전면적 조사에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임철영 기자 cylim@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