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대기업 근로자 44%, 직무·직능급 연봉제 도입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16초

[아시아경제 김혜민 기자] 500대 기업 근로자의 절반 가량은 이미 직능·직무급 연봉제를 적용받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나머지 절반은 호봉급을 적용받고 있었다.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는 여론조사기관 리서치앤리서치에 의뢰해 '500대 기업 임금체계 현황 및 애로요인'을 조사한 결과 이같이 집계됐다고 7일 밝혔다.

조사결과를 보면, 매출액 상위 500대 기업 중 답변에 응한 170개 기업(35만9428명) 중 기본급이 호봉급인 근로자는 43.3%(15만5723명)였다. 직능급인 근로자는 34.1%(12만2246명), 직무급인 근로자는 10.7%(3만8537명)였다.


대기업 근로자 44%, 직무·직능급 연봉제 도입 ▲기본급 종류별 근로자 비중
AD

직종별 주된 기본급 현황을 살펴보면 사무직은 주로 직능급(53.6%)과 직무급(18.9%)을 적용받는 경우가 많았다. 연구직은 호봉급(49.9%)과 직능급(27.5%)이, 생산직은 호봉급(78.8%)이 많았다. 판매·서비스직 역시 호봉급(54.3%)과 직능급(24.5%)이 많았다.


총임금 중 성과급 비중은 43.9%(15만7763명)가 10%를 넘지 않는다고 답했다. 20~30% 수준이라는 근로자는 14.3%(5만1504명) 수준이었다. 응답기업의 평균 성과급 비중은 14.5%로, 우리나라 100인 이상 사업장의 평균 성과급 비중 5.8% 보다 1.5배 높았다.


응답기업의 절반 이상(50.8%)은 현행 임금체계의 문제점으로 "성과가 달라도 보상 수준이 비슷해 무임승차자 발생한다"고 꼽았다. 직무별 임금 차등이 어려워 연구인력 등 고급인력을 유치하는데 난항을 빚고 있다는 응답도 19.4%에 달했다.


지향하는 기본급 체계로는 직종별로 사무직은 직무급(51.8%), 연구직은 직능급(47.9%), 생산직은 직능급(42.5%), 판매·서비스직은 직능급(52.1%)이 가장 많았다. 정부에서는 직무급 도입을 권장하고 있지만 기업들은 직종에 따라서 도입이 상대적으로 쉽고 순환근무에 용이한 직능급을 선호하기도 했다.


기업들은 올해 '기본급 인상률 차등 제도 도입'(30.6%)을 가장 중점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연공성을 줄이고 성과급 비중을 확대(27.6%)하는 작업에도 나설 계획인 것으로 조사됐다. 이들은 인사평가의 공정성을 확보(50.6%)하는 것이 임금체계 개편의 가장 어려운 점이라고 응답했다. 반면 노조가 있는 기업은 '근로자와 합의'(48.1%)를 가장 큰 어려움으로 꼽았다.


한편 응답기업 170개사 중 호봉급이 있는 곳은 118개사였으며 호봉승급에 상한선이 있는 기업은 75개사(63.6%)였다. 이들의 호봉상한선은 평균 29.2호봉이었고 유노조 기업은 평균 33.7호봉, 무노조 기업은 평균 18.3호봉이었다.


호봉급을 유지하는 이유로는 '기존 관행'(39%)이라고 응답한 기업들이 가장 많았다. 노조가 호봉급 폐지에 반대한다는 응답은 24.6%, 호봉급을 대신한 대안이 없다는 응답도 15.3%에 달했다.


호봉급으로 인해 발생되는 문제점은 '장기근속자에 대한 고용유지 부담'(50.8%), '근로자 성과 관리의 어려움'(28.0%), '경기변화에 능동적 대응이 어려움'(9.3%) 순이었다. 유노조 기업은 '장기근속자에 대한 고용유지 부담'(60.5%)을, 무노조 기업은 '근로자 성과 관리의 어려움'(40.6%)을 가장 큰 문제점으로 꼽았다.


송원근 경제본부장은 "많은 대기업이 직능급 도입을 고려하고 있는 만큼 기업 상황에 맞게 임금체계를 개선할 수 있도록 관련 연구와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혜민 기자 hmeeng@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