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청·장년층 5명 중 1명 고관절 충돌증후군 위험

시계아이콘읽는 시간39초

[아시아경제 지연진 기자]우리나라 청·장년층 5명 가운데 1명은 고관절충돌증후군 위험이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고관절 충돌증후군은 엉엉이 관절을 이루는 골반뼈와 허벅지뼈가 변형으로 부딪히면서 통증이 나타나는 증상으로 대표적인 노인성 질환으로 여겨졌다.


20일 서울아산병원에 따르면 이 병원의 정형외과 윤필환 교수팀이 우리나라 18~50세 성인 200명의 고관절을 조사한 결과 19.3%가 고관절 충돌 증후군이 생길 수 있는 고관절뼈 이상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고관절 충돌 증후군이 있으면, 누운 자세에서 무릎을 잡고 가슴 쪽으로 당기거나 다리를 안쪽으로 회전할 때, 오랜 시간 앉아 있다가 일어설 때 통증이 느껴질 수있다.


윤필환 교수는 "아시아인은 고관절 충돌 증후군을 일으키는 뼈 이상이 드물다는 통설이 있었지만 이번 연구를 통해 우리나라 성인 남녀에서도 서양인과 유사한 비율로 고관절 이상이 발견됐다"고 의미를 설명했다.

연구에 참여한 성인 남녀의 평균 나이가 33세로 비교적 젊고, 과거 고관절 질환을 앓은 적이 없으며, 평소 통증이 없었는데도 이런 이상을 가진 것으로 나타나 고관절 충돌 증후군 질환이 상대적으로 젊은 나이에도 일어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했다고 그는 말했다.


윤 교수는 "최근 국내에서도 평소 운동을 많이 하는 젊은 세대에서 고관절 충돌증후군 환자가 늘고 있다"며 "과격하게 다리를 돌리거나 뒤트는 동작은 고관절에 무리가 갈 수 있다"고 밝혔다.


고관절 충돌 증후군 환자의 60%는 생활습관이나 운동 방법을 교정하는 방법으로치료를 받을 수 있다. 연골이 손상되는 등 심각한 경우에는 수술을 고려해야 한다. 최근에는 상대적으로 흉터가 작은 관절경 수술이 이뤄지고 있다.




지연진 기자 gyj@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