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하반기 금융산업 하강국면…은행 수익성 부진 이어져"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2초

하나금융硏 '2015 하반기 금융산업 전망 보고서' 발간
은행업, 순수익 비중 지난해 40% 아래로 추락…"금리인하로 인한 NIM 하락 탓"


"하반기 금융산업 하강국면…은행 수익성 부진 이어져" 자료:하나금융경영연구소
AD

[아시아경제 조은임 기자] 하반기 은행의 수익성 부진이 이어지면서 금융산업이 전반적으로 하강국면을 벗어나지 못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10일 하나금융경영연구소가 발간한 '2015년 하반기 금융산업 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저성장과 저금리에 따라 금융산업 전체의 순수익이 줄어드는 추세에 들어섰고 그 흐름은 당분간 지속될 전망이다.

2005년부터 최근까지의 자료를 토대로 각 업권별 순수익(net revenue)을 분석한 결과 증권업이 가장 뚜렷한 실적 개선 추세를 이어갔다. 생명보험과 카드업도 양호한 실적을 올릴 것으로 예상됐지만, 은행업의 실적은 여전히 개선되기 어려울 것으로 진단됐다.


금융업권 순수익의 총합은 2005년 48조원에서 2011년 75조원으로, 연평균 7.7%씩 성장했다. 하지만 지난해 순수익이 70조1000억원으로 떨어지면서 감소세로 돌아섰다. 특히 2005년 전체 순수익의 절반 정도를 차지하던 은행의 비중이 작년에 40% 아래로 급하락했고, 그 빈자리를 생명보험업이 차지했다. 연구소는 "한마디로 금융업권 전체의 먹거리가 줄어들고 있다는 것"이라며 "고령화, 저금리와 함께 세제혜택의 영향이 크게 작용한 결과"로 내다봤다.


연구소는 올해 두 차례에 걸친 기준금리 인하로 인해 순이자마진(NIM)이 떨어져 핵심이익의 증가는 기대하기 어려울 것으로 분석했다. 계좌이동제 시행, 외국환업무 규제 완화, 인터넷전문은행의 등장에 따라 은행의 영업 행로는 더욱 험난해질 것이라고 진단했다. 단, 은행 대출은 부동산 규제 완화와 중소기업 지원 정책에 따라 명목 국민총생산(GDP) 성장률을 상회하는 증가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했다.


증권업은 주식거래가 늘어나고, 수수료 수익이 개선되면서 형성된 상반기의 흐름이 하반기까지 이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안성학 수석연구원은 "증가 일로의 자산관리 수요 충족을 위해서는 감독당국이 증권사의 레버리지 비율 규제에 어느 정도 융통성을 발휘할 필요가 있다"고 주문했다.


생명보험업의 경우 저축성보험의 수수료체계 개편에 따라 저축성보험의 판매에 애로가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자본 규제 강화에 따라 자본비율이 악화될 가능성도 우려했다. 하지만 신(新) 종신보험으로 대표되는 보장성 복합상품을 중심으로 수입보험료의 증가는 지속될 것으로 분석했다.


대출축소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카드산업에 대해서는 카드사용에 있어 확대될 여력이 있고 저금리에 따른 자금조달 비용 감소가 수익 개선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았다. 다만 소액결제 확대와 가맹점수수료 인하에 따라 카드수익에서 차지하는 가맹점수수료 비중이 줄어들 것으로 예상했다.




조은임 기자 goodnim@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