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평생 일궈온 그룹 '절체절명' 위기인데…신격호 회장 두문불출 왜?

시계아이콘01분 47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글자크기

평생 일궈온 그룹 '절체절명' 위기인데…신격호 회장 두문불출 왜?
AD


신 전 부회장에게 유리한 신 총괄회장의 육성 및 지시서 놓고 신동빈 회장측 저의가 의심스럽다 반발
신 총괄회장이 직접 공식입장을 밝히지 않은 상태로 진의는 좀 더 지켜봐야

[아시아경제 이초희 기자]#"아키오(신동빈 롯데그룹 회장)도 그만두게 했잖아."(신격호 롯데그룹 총괄회장)
"아직 안 그만뒀습니다. "(신동주 전 일본 롯데홀딩스 부회장)
"너는 가만히 있을 것이냐."(신 총괄회장)
31일 KBS를 통해 공개된 신 총괄회장-신 전 부회장 육성 내용


#(신 총괄회장이) 동주가 경영권을 가져가는 것에 대한 의견이 한 번도 바뀐 적이 없다. 차남에게 경영권을 탈취당한 것으로 여긴다."(신 총괄회장 셋째 동생 신선호 일본 산사스 사장)

롯데그룹의 경영권을 둘러싼 형제의 난이 처음부터 '신격호-신동빈'의 부자간 갈등이 폭발한 것이라는 관측이 확산되고 있다. 장남인 신 전 부회장이 공개한 육성 내용과 신 회장을 신 총괄회장이 해임하고 한일 롯데 회장을 신 전 부회장으로 한다는 지시서가 공개되고 셋째동생인 신 사장이 신 전 부회장의 주장에 힘을 싣는 발언을 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정작 신 총괄회장이 공식석상에서 직접 밝힌 적은 없다. 육성내용의 경우 편집이 가능할 수 있고 지시서 역시 법적 효력을 발휘할 수 없는데다 신 전 부회장이 공개한 것인 만큼 신 총괄회장이 직접 쓴 것인지에 대해서는 의견이 엇갈린다.


신 회장이 지배하고 있는 롯데그룹도 반박 자료를 통해 "경영권과 전혀 관련 없는 분들에 의해 차단된 가운데 만들어진 녹취라 그 의도가 의심스럽다"고 강하게 반발했다.


또 "신 총괄회장의 의중이 경영 전반에 매우 중요한 부분이라고 해서 상법상 원칙을 벗어난 의사결정까지 인정될 수는 없다"며 "모든 의사결정은 상법상의 절차와 결의를 통해서만 유효하다"고 반박했다.


신 전부회장에 우호발언을 한 신 사장도 이번 사태가 발생하기 전부터 장남의 편에 있었던 것으로 분류됐기 때문에 그의 발언이 신 총괄회장의 진의 인지는 지켜봐야 알 수 있다는 시각도 있다.


일각에서는 신 총괄회장이 공식적으로 현재의 입장을 밝힐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왕자의 난으로 불린 이번 사태가 걷잡을 수 없이 커지고 있는 상황에서 롯데그룹에 치명타를 주고 있기 때문이다.


재계 서열 5위인 기업임에도 불투명하게 쌓여있는 지배구조와 황제경영, 친족경영 등으로 비난에 휩싸이고 있으며 장남의 일본어 인터뷰와 육성공개를 통해 드러난 일본어 대화 등도 네티즌들의 집중포화를 받고 있다.


신동빈-반 신동빈 세력간 공방이 격화되고 있는 가운데 신 회장은 일본에서 롯데홀딩스 주주총회를 앞두고 우호세력 결집을 다지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신 회장 역시 지난 29일 이번 사태에 대해 임직원들에게 보내는 메시지를 보냈었지만 이후 사태가 확산되고 있음에도 이렇다 할 공식입장을 내놓지 않고 있다. 3일 귀국해 기자회견 등 일련의 사태에 대한 입장을 내놓지 않겠냐는 것이 재계의 시각이다.


재계 한 관계자는 "신격호 총괄회장이 평생을 일궈놓은 기업이지만 지극히 폐쇄적이고 불투명한 경영이 이번 사태를 낳았다"며 "누가 이기든 간에 후유증은 심각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신 전 부회장이 내놓은 것들만 있을 뿐 신 총괄회장이 공식입장을 내놓지 않아 의중이 정확히 누구에게 쏠려 있는지는 좀 더 지켜봐야 한다"며 "경영권 분쟁이 자칫 장기화될 수도 있다"고 분석했다.


앞서 일본 롯데홀딩스는 지난달 31일 주주총회 소집 안내장을 주주들에게 발송한 것으로 알려졌다. 비상장기업인 롯데홀딩스는 한국 롯데그룹의 지주회사 격인 호텔롯데의 지분 19%를 가진 최대주주로 주총에서 형제간 표 대결은 불가피할 것으로 점쳐진다. 승리하는 쪽이 일본은 물론 한국 롯데그룹의 경영권을 차지하게 돼 이번 사태의 최대 분수령이 될 것이란 시각이 우세하다. 일본의 경우 비상장기업은 주총 개최일 일주일 전에 안내장을 발송하면 된다.




이초희 기자 cho77lov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