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플레보고서]저물가라는데, 장바구니 물가가 높은 이유는?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1초

[인플레보고서]저물가라는데, 장바구니 물가가 높은 이유는?
AD



[아시아경제 이은정 기자] "소비자물가상승률은 0.7%라는데 일반인의 물가인식은 왜 2.5%(한국은행 6월 소비자동향조사)나 될까?"

최근 들어 체감물가와 공식물가 상승률간의 괴리가 커지고 있는 것은 가격상승에 민감하고 가격하락에 둔감하게 반응하는 가격인식의 비대칭적 성향에 따른 것이란 분석이 나왔다.


한국은행은 30일 발표한 인플레이션보고서에서 "2013년 이후 시기별로 차이는 있으나 평균적으로 물가인식이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1.7%포인트 정도 상회하고 있다"며 체감물가와 공식물가 상승률간 괴리요인에 대해 이같이 분석했다.

한은은 "소비자물가지수는 품목별 가격변동을 상승·하락에 관계없이 동일하게 반영하지만 개인은 가격 하락품목에는 둔감한 반면 가격상승품목에는 민감하게 반응하는 비대칭적 성향을 보인다"고 설명했다.


또 개별 가구의 소비품목, 품목별 지출비중 등 소비패턴이 우리나라 전체가구의 평균과 차이가 있다는 점도 체감물가와 공식물가 상승률간 괴리요인으로 지목했다. 올해 초 담뱃값 인상은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0.6%포인트 높였지만 각 가구별로 영향을 미치는 정도는 흡연여부 및 흡연량에 따라 다르다는 게 대표 사례다.


지역별 소비자물가 상승률 차이도 체감물가와 공식물가의 격차를 벌린 요인이다. 통계청이 16개 시도별로 작성하는 지역별 소비자물가지수를 보면, 2013년 이후 대체로 서울지역의 상승률이 가장 높고 강원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상승률을 나타내고 있다. 이는 지역별로 품목별 소비지출 비중이 다르기 때문이다. 실제 2013년 이후 농산물 및 석유류 가격의 약세로 이 품목의 소비지출 비중이 높은 강원도의 물가상승률은 낮았다. 반면 서울은 농산물 및 석유류 소비지출 비중은 상대적으로 작은 대신 비교적 높은 상승세를 보였던 집세에 대한 지출 비중이 다른 지역에 비해 월등히 높아 서울지역 물가상승률이 여타 지역에 비해 높게 나타난 것으로 분석됐다.


한은은 "통화정책이 공식물가지수를 기준으로 운영된다는 점에서 체감물가와 공식물가간 괴리가 지속되는 경우 통화정책의 신뢰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며 "통화정책의 원활한 수행을 위해서는 체감물가와 공식물가 상승률간 괴리요인에 대해 면밀히 살펴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은정 기자 mybang21@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