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임철영 기자] '중위험ㆍ중수익'을 추구하는 주가연계증권(ELS)은 지수나 종목을 기초자산으로 하는 파생상품이다. ELS는 예ㆍ적금, 채권 투자에 비해서는 위험도가 높지만 주식 직접투자보다는 리스크가 덜한 상품으로 각광을 받는 것은 사실이다. 특히 1%대 초저금리 시대를 맞아 투자자의 관심이 투자 상품의 '위험성'보다 상대적으로 '수익률'에 더 쏠리면서 ELS 인기는 식을 줄 모른다.
문제는 ELS의 '중위험ㆍ중수익' 성향은 증시 대세 상승기에는 장점으로 작용하지만 하락기에 접어들면 금세 얼굴을 바꾼다는 점이다. 최근 LG전자, 대우조선해양 등 일부 대형주들이 급락하면서 관련 ELS들이 대거 손실을 본 것이 대표적 사례다.
ELS는 지난 2003년 처음 시장에 나온 이후 글로벌 금융위기 직전 새로운 개념의 투자 상품으로 떠오르며 투자자의 관심을 받았다. 직접투자가 어려운 직장 초년생과 퇴직을 앞두고 목돈을 굴리기 위해 돈을 맡긴 직장인까지 다양한 연령층의 투자자가 몰렸다.
정보기술(IT) 거품이 꺼진 이후 5~6년 만에 맞은 대세 상승기에 투자자, 증권사 할 것 없이 녹인 가능성보다는 수익률에 초점을 두고 상품을 사고팔았다. 하지만 결과는 참혹했다. 특정 종목의 주가를 추종하는 종목형 ELS와 선진 지수를 추종하는 지수형 ELS 모두 글로벌 금융위기가 만든 참사에서 자유롭지 못했다. 산전수전을 겪은 ELS가 다시 주목을 받기 시작한 건 본격적인 저금리 시대를 맞으면서부터다.
ELS에 대한 우려가 지나치다는 반론도 있다. 일부 종목형 ELS에 한정된 문제를 ELS 상품 전체의 위기로 일반화하고 있다는 주장이다. 증권사가 발행하는 종목형 ELS는 중장기 주가를 예측하기 힘들어 일정 수준 이상의 가격, 거래량, 신용도 등을 갖춘 우량 종목을 기초자산으로 삼고 있다. 기초자산의 가격 변동성을 최소화해 원금 손실 위험을 줄이기 위해서다.
특히 지난 2012년 유로존 위기 이후에는 개별 종목의 변동성이 커지면서 증권사마다 종목형보다는 주로 지수형 ELS를 앞다퉈 내놨다. 배윤정 NH투자증권 파생상품부 과장은 "2012년 유로존 위기 이후 종목형 ELS 발행이 큰 폭으로 줄었다"며 "위험을 줄이기 위한 지수형 ELS 발행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ELS 발행과 관련한 당국의 규제 수위는 높아지는 추세다. 한국거래소는 지난 2009년 만기일을 앞두고 ELS 기초자산 가격에 영향을 줄 수 있는 'ELS 헤지거래 가이드라인'을 제정했고 금융위원회는 지난 2013년 증권사 재무 건전성을 강화하겠다며 레버리지 비율을 강화하기도 했다. 레버리지 비율 강화는 신용으로 발행하는 ELS 등의 판매를 억제하는 요인으로 작용했다.
금융투자 업계는 불만이 가득하다. 익명을 요구한 증권사 한 고위 관계자는 "법을 위반한 판매 행위를 했다면 사죄하고 시정하는 게 마땅하지만 대내외 악재로 예측하지 못한 손실마저 증권사의 불완전판매로 몰아가는 과정이 반복되고 있다"며 "투자자 보호의 책임이 있는 금융 당국 입장도 이해하지만 충분한 사전 모니터링 없이 선제적으로 불완전판매 등을 집중 감독하겠다는 방침은 자칫 투자자에게 오해를 불러일으킬 수 있다"고 지적했다.
임철영 기자 cylim@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