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서울시, 장애인공무원 직무 도울 '코디네이터' 운영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9초

서울시, 장애인 고용전문가 황수정 주무관 채용…장애인공무원 종합지원

[아시아경제 유제훈 기자] 서울시가 소속 장애인공무원들의 업무 수행을 도울 '코디네이터' 제도를 전국최초로 운영한다.


서울시는 지난 15일 부터 14년 경력의 현장 전문가인 황수정(40·여) 주무관을 코디네이터로 채용, 장애인공무원들의 직무수행·역량발휘를 종합적으로 지원하게 됐다고 23일 밝혔다.

장애인 공무원의 경우 신체적 제약으로 직무수행에 적지 않은 어려움을 갖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 때문에 장애인공무원의 근로능력, 심리·정서에 대한 종합적인 지원을 담당할 전문인력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돼 왔다.


실제 미국의 경우 연방정부 각 부처마다 전문 코디네이터 (SPPC·Selective Placement Program Coordinator)를 배치, 부처 내 장애인공무원에 대한 종합적 지원을 담당하고 있다.

이번에 새로 채용된 코디네이터 황 주무관은 사회복지학 석사과정을 마쳤고, 14년간 장애인고용 전문기관에서 다양한 연구를 수행했다. 아울러 대기업이나 공공부문 장애인 고용과 관련한 현장 경험도 풍부하다.


앞으로 황 주무관은 인사발령 시 새로운 부서에 배치된 장애인공무원과 면담, 정당한 배려를 받고 있는지나 필요한 재활보조기가 있는 지 등을 파악하게 된다.


특히 중증장애인공무원의 경우 부서발령 전 직무평가와 면담을 통해 수행가능한 업무를 찾고, 이에 맞는 부서와의 1대 1 매칭을 돕는다.


아울러 코디네이터는 장애인공무원이 다양한 부서에 배치될 수 있는 여건 마련을 위한 연구, 장애인공무원 역량강화 지원 등도 수행하게 된다.


황 주무관은 "사회복지사로서의 전문성과 장애인전문기관에서 14년간 쌓은 연구 및 현장경험을 바탕으로 시 소속 장애인공무원들이 역량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할 계획"이라며 "또 전국 최초 장애인공무원 직무코디네이터로서 선도적인 역할을 수행해 전국 지방자치단체에서 벤치마킹 할 수 있는 모범적인 사례가 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시는 장애인 고용목표율을 10%로 상향하고 매년 신규채용 인력의 10%를 장애인에 할당하고 있다. 이에 따라 현재 시 장애인고용률은 법정비율 3%를 초과하는 4.7%이며, 본청·사업소·자치구에 모두 1600여명의 장애인공무원이 근무하고 있다.




유제훈 기자 kalamal@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