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한국인 은퇴준비 개선됐지만 은퇴후 생활비↓…노후불안감은 커져

시계아이콘01분 09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글자크기

소득계층별 격차 여전

한국인 은퇴준비 개선됐지만 은퇴후 생활비↓…노후불안감은 커져 노지리 사토시 피델리티 일본 투자자교육 연구소 소장(좌)과 최현자 서울대학교 소비자학과 교수(우)
AD

[아시아경제 이장현 기자] 우리나라 국민의 은퇴준비 수준은 6년 전에 비해 상당히 개선됐지만 은퇴 후 예상생활비를 줄인 영향이 컸던 것으로 분석됐다. 또 소득수준별 양극화가 여전히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14일 피델리티자산운용은 '2014 피델리티 은퇴준비지수'를 조사해 발표했다. 피델리티 은퇴준비지수는 피델리티 운용이 서울대학교 노년·은퇴설계지원센터와 함께 조사하는 은퇴 관련 지수로, 지난 2008년부터 2년 마다 발표하고 있다.

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 국민이 희망하는 은퇴생활 수준과 실제 은퇴 준비 수준의 괴리를 의미하는 '은퇴준비격차'는 지난해 13%포인트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2008년과 2012년 각각 21%포인트, 18%포인트였던 것에 비해 개선된 것이다.


이는 주로 은퇴 직전 소득 대비 은퇴 후 예상 생활비를 나타내는 ‘목표소득대체율’의 감소로 인한 결과다. 즉, 국민이 은퇴 후 적정하다고 생각하는 생활비 수준이 줄었다는 뜻으로 물가상승률의 하락과 더불어 비은퇴자들이 은퇴생활을 좀 더 현실적으로 인식하기 시작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최현자 서울대 소비자학과 교수는 “지난 6년 동안 은퇴준비에 대한 인식 변화와 은퇴대비를 위한 노력으로 은퇴준비격차가 상당히 개선됐다”면서도 “가장 바람직한 모습은 소득대체율의 상승으로 인한 은퇴준비격차 감소인데 아직까지 우리나라의 소득대체율은 OECD에서 권고한 60~70%에 비하면 낮은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연령별로는 50대의 은퇴준비 개선이 두드러졌다. 50대 인구의 은퇴준비격차는 지난 2012년 20%포인트에서 올해 9%포인트로 크게 감소했다. 최 교수는 “노후에 대한 불안감으로 소비지출은 줄이고 저축을 늘리며 동시에 은퇴기간 동안 예상되는 소비수준을 크게 낮춘 것이 은퇴준비격차 하락에 기여했다”고 분석했다.


은퇴준비에서도 소득수준별 양극화는 심각했다. 소득이 가장 높은 5분위 집단의 은퇴준비격차는 -1%포인트를 기록했다. 반면 가장 소득이 적은 1분위의 경우 은퇴준비격차가 49%포인트로 나타나 이들 계층의 은퇴 후 삶에 대한 사회적 대책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피델리티운용은 앞으로 은퇴준비격차를 줄일 수 있는 방안으로 ▲국민연금 외 퇴직연금, 개인연금 등 사적 대비방안 강화 ▲은퇴 포트폴리오 수익률에 대한 관심 제고 및 은퇴자산을 생활비로 전환해 소진하는 비율을 의미하는 ‘인출률’ 개념 도입 ▲DC형 퇴직연금과 개인형퇴직연금(IRP) 보급화에 따른 금융소비자의 금융역량 강화 등을 제시했다.


마이클 리드 피델리티운용 대표는 “은퇴에 대한 국민적 관심도가 높아진 현 상황을 감안하면 향후 한국인들의 은퇴준비는 점점 더 개선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피델리티는 앞으로도 정기적인 은퇴준비지수 발표와 다양한 퇴직연금·개인연금 펀드를 통해 한국 투자자들의 성공적인 은퇴준비를 중장기적으로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장현 기자 insid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