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한화 문화지원 사회공헌, 예술이네~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2초

한화그룹, '한화예술더하기' 3년간 활동성과 발표


한화 문화지원 사회공헌, 예술이네~ 한화예술더하기에 참여한 아동들이 한화 봉사자들과 함께 교육을 통해 배운 사진기술을 직접 경험하며 즐거운 시간을 보내고 있다.
AD

[아시아경제 조강욱 기자] 국내 기업들이 사회공헌 활동의 일환으로 진행하는 문화예술교육 활동이 실제 대상자는 물론 참여자 모두에게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났다는 결과가 발표돼 주목되고 있다.


한화그룹은 30일 한국메세나협회와 함께 진행해 온 소외계층 아동들을 대상으로 하는 문화예술교육 사회공헌활동 '한화예술더하기'의 지난 3년간 운영성과를 발표하며 이번 활동이 아동들의 창의성과 정서지능 향상 등 정서적인 측면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보였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2012년부터 2014년까지 한화예술더하기 프로그램에 참여한 초등학교 3학년 이상 아동 662명, 한화그룹 임직원 408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효과 연구 및 분석은 한화예술더하기 사업이 처음 진행된 2009년부터 매년 지속적으로 진행해 왔다. 임승희 수원대 경영학과 교수, 김세훈 숙명여대 문화관광학부 교수 등이 전문 연구진으로 참여했다.


연구에 따르면 대상 아동들은 프로그램 참여 전에 비해 창의성 지수가 5점 만점에 3.83점에서 4.20점으로 높아졌고, 정서인식 및 표현 능력, 사고촉진 능력, 정서지식 활용능력, 정서 조절능력 등 정서지능 지수도 향상됐다(3.26→3.94점).


또 환경을 테마로 진행된 문화예술 교육에 3년간 참여한 아동들은 환경에 대한 관심이 최초 조사 때보다 월등히 높아졌다(2.52→3.45점). 여기에 환경문제 해결의지(3.86→4.41점)와 친환경 실천행동 수준도 모두 향상됐다(구매행동 2.92→3.70점, 사용행동 3.50→4.01점, 처분행동 3.83→4.19점).


특히 한화예술더하기에 참여한 임직원들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도 조직에 대한 신뢰도가 높아진 것으로 분석됐다. 이 프로그램에 3년간 자원봉사자로 참여한 한화그룹 임직원들의 경우, 참여횟수가 많은 임직원일수록 참여횟수가 적은 임직원보다 조직에 대한 신뢰도(5.61>5.40, 7점 만점) 및 동일 시 경향(5.82>5.62, 7점 만점)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확인됐다.


임승희 교수는 "한화예술더하기는 수업내용, 예술강사, 임직원 봉사자, 운영방법, 수업경험, 프로그램 흥미와 같은 요인별 만족도가 매우 높게 나타났다"면서 "특히 임직원 봉사자, 예술강사와 같은 인적 요인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참여한 아동들도 프로그램 종료 후 문화예술에 대한 관심 및 공유도가 지속적으로 유지되고 있다. 이런 결과는 오랜 기간 장기적 지원에 따른 성과"라고 말했다.


이병권 한국메세나협회 사무처장은 "이번 한화예술더하기 프로그램의 연구 성과는, 문화예술 활동을 접목한 사회공헌활동에 대한 기업들의 장기적 투자의 중요성과 전략적이고 체계적인 기획의 필요성을 보여주는 매우 의미 있는 결과"라고 평가했다.




조강욱 기자 jomarok@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