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박선미 기자]중국에서 해외차입이 급증하고 있어 미국 금리인상에 대한 리스크가 커지고 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5일(현지시간) 보도했다.
국제결제은행(BIS)에 따르면 중국의 올해 1분기 해외차입액은 전년 동기대비 38% 늘어난 8000억달러를 기록했다. 해외차입은 2010년 이후 4배로 늘었다.
해외 투자자들에게 채권을 발행해 자금을 조달하는 경우도 급증하고 있다. 금융정보 제공업체 딜로직은 올해 현재까지 중국 기업과 은행이 달러화 표시 채권 570억달러어치를 발행한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이미 지난해 전체 달러화 표시 채권 발행액을 넘어섰으며 사상 최대 기록이다.
해외차입이 급증한 데에는 중국 금리가 높은데다 정부가 신용 증가를 우려하고 있어 유동성 또한 타이트하기 때문이다. 이와 대조적으로 미국과 유럽을 비롯한 많은 국가들이 최저금리를 채택하고 있다. 중국 기업들이 글로벌화에 나서면서 달러화로 자금을 조달하기가 쉬워진 것도 해외차입 급증에 영향을 미쳤다.
문제는 미국이 금리인상을 단행할 경우다. 비록 지금은 최저금리를 유지하고 있지만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가 자산매입 규모를 계속 축소하고 있고 조기 금리인상 가능성까지 제기되면서 미국 국채금리는 상승하는 쪽으로 이미 변화의 조짐을 보이고 있다. 중국 기업들의 해외차입 비용 부담이 높아지고 있다는 얘기다.
만약 해외차입을 계획했던 중국 기업들이 금리 상승 움직임 속에 중국 시장으로 한꺼번에 몰릴 경우 중국 내 유동성은 더욱 타이트해 질 수 밖에 없다. 이렇게 되면 중국내 자금조달 비용도 동반 상승하게 된다.
중국이 한국, 인도네시아 등 다른 아시아 국가 보다 자금 유출입이 자유롭지 못해 미국의 테이퍼링(양적완화 축소) 타격을 덜 받을 것이라는 인식이 강했지만, 중국의 갑자기 불어난 해외차입 규모는 중국도 미국의 금리인상 리스크에서 벗어날 수 없다는 것을 여실히 드러내고 있다.
도이체방크의 마이클 스펜서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중국 정부의 자본 통제 때문에 중국이 미국의 금리인상 타격을 안 받을 것이라는 생각은 잘못됐다"면서 "자본 통제가 핫머니(단기성 투기자금) 유입을 막는데 별로 도움이 안 될 뿐 아니라 핫머니의 갑작스런 이탈을 막는 데에도 효과를 내지 못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WSJ은 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이 자금경색을 피하기 위해서라도 통화정책을 느슨하게 푸는 결단을 내릴 수도 있다고 진단했다.
박선미 기자 psm82@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