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한국골프장의 허와 실] 7.회원권 "안전지대가 없다"

시계아이콘01분 44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글자크기

남부 최고 21억원에서 9억원까지, 금융위기와 골프장 급증으로 폭락세 가속

[한국골프장의 허와 실] 7.회원권 "안전지대가 없다" 2008년 1715포인트로 고점을 찍었던 회원권지수가 지난해 말 713포인트로 폭락했다. 그래픽=최길수 기자 cks008@asiae.co.kr
AD


[아시아경제 김현준 골프전문기자, 손은정 기자] 그야말로 골프회원권시장의 '몰락'이다.

한반도 역시 유럽발 경제위기를 비껴가지 못했고 주요 자산시장인 골프회원권은 직격탄을 맞았다. 이번에는 특히 골프장을 소유하고 있던 일부 대기업마저 무너져 그동안 든든한 버팀목이 됐던 모기업의 안정성이라는 대목까지 빛이 바랬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가산노블리제 회원권은 휴지조각, 골프클럽 Q안성 사태는 "분양가의 17%"라는 법원 판결로 매듭지어져 회원권시장 전체가 공황상태에 빠졌다.


▲ '리먼 사태'가 회원권까지= 1997년 말 외환위기, 주가가 폭락했고 기업들은 줄줄이 도산했다. 당연히 골프회원권도 폭락했다. 하지만 반등이 빨랐다. 회원권업계 관계자들은 "당시에는 그래도 골프를 즐기고 회원권을 갖고 있는 부를 축적한 부류는 경제적으로 심각하게 타격을 받지 않지 않았다"며 "일부 극소수를 제외하고는 오히려 낮아진 가격에 매입을 서두르던 시기였다"고 평가했다.

그 때만 해도 골프장 수가 절대적으로 부족해 빠른 회복세의 동력으로 작용했다. 부킹을 하기 위해서는 회원권이 필요했기 때문이다. 2000년대 접어들면서 차츰 경기가 나아졌고, 큰손들은 오히려 불경기에도 끄떡없던 골프장에 관심을 돌렸다. 골프회원권이 주식, 부동산과 함께 주요 자산 시장으로 떠오른 이유다. 주가와 회원권시세가 비례하는 현상도 뚜렷하게 나타났다.


부동산 정책 등 정부의 자산시장에 대한 정책 변수에 따라 풍선효과를 보이기도 했다. 주식처럼 투자상품으로 부각됐고, 부킹과 함께 그린피 할인혜택이라는 이용권으로의 가치도 은행금리보다는 높은 이득이 됐다. 이용 목적보다 투자에 눈 뜬 매수자들이 늘었고 심지어 골프를 치지 않는데도 회원권을 사는 사람까지 생겨났다.


고점시세는 그러나 2008년 3월 정점을 찍었다. 고유가에 고물가, 주식시장의 불안감, 부동산 침체 등 스태그플래이션에 2008년 9월 미국 투자은행 리먼브라더스가 파산하는 이른바 '리먼 사태'가 전 세계 경기를 얼어붙게 만들었다. 그리스발 유럽 재정위기는 2차 충격까지 가했다. 국내 골프장업계는 반면 건설 붐에 따라 분양 물건이 넘쳐나는 기현상으로 돌아올 수 없는 강을 건넜다.


▲ 최고가 남부 반토막 "안전지대 없나?"= 에이스회원권거래소에서 발표하는 회원권지수 에이스피는 연초 대비 4.6% 하락, 평균 회원권가격은 1억1172만원에서 1억174만원으로 998만원 떨어졌다. 일부 상승 골프장을 감안하면 '부익부 빈익빈' 현상이 더욱 깊어지고 있는 모양새다.


코오롱의 우정힐스가 8.5%, 삼성에버랜드의 가평베네스트 7.4%, 하이트맥주가 운영하는 블루헤런 6.9%, 사조산업이 최대 주주로 있는 캐슬렉스가 각각 5.8% 상승했다. 영남권에서는 주주제인 창원과 경주신라, 파미힐스 등이 3~8%, 사단법인제인 울산과 부산이 각각 7%와 4.9% 상승기류를 탔다. 골프회원권의 선택 기준이 과거 접근성과 부킹률에서 최근에는 모기업 안정성으로 바뀌는 추이를 입증하고 있다.


그렇다고 해서 대기업이 무조건 안전한 것도 아니다. 웅진그룹에 이어 동양그룹이 법정관리에 돌입하면서 회원권시장 전체에 악영향을 미쳤다. 동양레저가 운영하던 파인크리크는 연초 2억4000만원에서 12월 9500만원으로 무려 60.4%가 폭락했다. 1년 사이 1억4500만원을 날린 셈이다. 파인밸리 가족회원권도 8300만원에서 4000만원으로 반토막났다.


주요 종목의 고점 대비 하락률을 살펴보면 더 우울하다. 국내 최고가 남부는 2008년 21억1500만원이나 호가했지만 현재 9억원으로 추락했다. 반 이하로 꺾인 시세다. 남촌은 15억4000만원에서 4억8000만원으로 1/3이 남았고, 이스트밸리는 15억9500만원에서 6억2000만원으로 10억원이상이 허공으로 날아갔다. 신원과 아시아나, 화산 등 용인의 전통고가권도 고점 대비 70% 안팎으로 가격을 낮춘 상황이다.


지난해에는 공무원을 비롯해 공기업의 골프금지령이 대기업까지 확산되면서 골프업계 전체가 더욱 내리막길이었다. 골프장 급증에 따른 시장 포화 등 내부 요인에 입회금 반환 등 자금 악화, 경기 침체 등 외부 악재가 겹치면서 일각에서는 "일본의 버블 붕괴"까지 우려하고 있다. 관련업계에서 "당분간 확실한 돌파구가 없다"며 한숨을 내쉬고 있는 까닭이다.


[한국골프장의 허와 실] 7.회원권 "안전지대가 없다"





김현준 골프전문기자 golfkim@asiae.co.kr
손은정 기자 ejso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