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임시·일용근로자 금융부채 증가율, 소득수준 2배

시계아이콘읽는 시간01분 17초

부채증가율 11%..두자릿수 기록은 2010년 조사 이후 처음

[아시아경제 최일권 기자] 임시직과 일용근로자의 금융부채 증가속도가 소득증가율을 2배 이상 웃도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영업자의 금융부채는 가구당 평균 1억원에 육박해 부채 관리에 빨간불이 켜졌다.


19일 한국은행과 금융감독원, 특허청이 발표한 '2013년 가계금융·복지조사 결과'에 따르면 올 3월 말 현재 임시·일용직의 금융부채 증가율은 전년대비 11.1%에 달했다. 이는 소득증가율인 4.9%를 크게 웃도는 수치다. 2010년 부채 조사가 실시된 이후 두자릿수 이상 증가율을 기록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담보대출과 신용카드 관련 대출 모두 늘었다"면서 "구체적인 원인은 파악해봐야 한다"고 말했다.


금융권에서는 소득 수준 증가가 소비를 따라가지 못한 측면이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임시 및 일용직의 연평균 소득은 2887만원으로 전년대비 4.9% 늘어나는데 그쳤다. 금융부채규모는 3622만원에 달한다.

자영업자도 여전히 뇌관으로 남아 있다. 특히 올 3월 말 현재 금융부채규모는 9333만원으로 전년대비 5.3% 증가해 1억원을 넘어설 기세다. 자영업자 자산은 1.1% 줄어든 4억8302만원으로 집계됐다.


한편 부채를 갖고 있는 가구 가운데 주택을 마련하기 위해 돈을 빌렸다는 비중이 34.7%로 가장 많았다. ‘사업자금'으로 부채를 얻은 가구는 28.3%, ‘거주주택 이외 부동산’과 생활비 용도로 대출을 받은 가구는 각각 15.3%와 6.5%를 차지했다.


전년에 비해 부동산 마련을 위한 대출이 1.5%p 줄어든 반면, 사업자금과 생활비 마련, 부채상환을 위한 대출 비중은 각각 0.7%p 증가했다.


대출기관별로는 ‘은행’이 74.5%로 절대적인 우위를 보였다. 하지만 전년 보다 비중은 1.8%p 감소했다. 반면 ‘비은행금융기관’을 이용한 비중은 늘었다. 캐피탈, 상호금융을 이용한 비중은 13.3%로 0.4%p 증가했으며 보험회사와 저축은행도 0.4~0.7% 늘어나면서 각각 3.7%와 2.1%를 기록했다.


우리나라 가구 10곳 가운데 절반 이상인 6곳이 금융부채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가구의 금융부채 규모는 소득을 웃돌았다. 또 급여를 받는 근로자 보다 자영업자의 금융부채 비중이 높았다.


대출 상환 방법은 ‘만기 일시 상환’이 37.9%로 가장 많았다. ‘원금 분할 상환’과 '원리금 균등 분할 상환'은 각각 14.0%와 17.1%를 차지했다. ‘원금/원리금 분할+일부 만기 상환’은 14.6%로 집계됐다.


한편 금융부채를 갖고 있는 우리나라 가구의 평균 부채 규모는 6537만원으로 나타났다. 이는 평균 소득인 5128만원을 웃도는 수준이다. 금융부채 보유 가구의 자산규모는 평균 3억5723만원으로 조사됐다.


가구주 연령대별로는 40대 가구 10곳 가운데 7곳 이상이 금융부채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0대 가구 비중은 70.6%를 보였다. 반면, 60세 이상 가구 가운데 부채 보유 가구는 35.8%로 집계됐다.


입주형태별로 집을 보유한 가구의 63.9%가 금융부채를 보유했으며 전세 가구의 경우 60.9%를 차지했다. 금융부채 보유액도 자가 가구가 8294만원, 전세 가구는 4540만원으로 집계됐다.




최일권 기자 igchoi@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