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박혜정 기자]1~5인실 등 상급병실에 입원한 환자 10명 가운데 6명은 본인 의사와 상관없이 추가 부담이 발생하는 상급병실을 이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병실 수가 환자 수요에 비해 부족한 탓이다.
10일 국민건강보험공단과 윤석준 고려대학교 교수팀에 따르면 지난해 10~12월 병원에서 진료 받은 환자·보호자 5256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상급병실을 이용한 환자의 59.5%가 본인의 의사와 상관없이 상급병실에 입원했다고 답했다.
병실 규모별로 살펴보면 1인실을 제외한 나머지 상급병실 입원 환자의 대부분은 비자발적으로 상급병실을 택했다. 3인실 입원환자의 71.7%가 원하지 않는데도 상급병실을 택했으며, 4인실은 환자의 70.3%, 2인실 69.9%, 5인실 61.2%가 비자발적으로 상급병실에 입원했다고 답했다. 반면 1인실 입원환자의 경우 68.9%가 자발적으로 상급병실을 선택했다고 했다.
상급병실은 '1개의 입원실에 5명 이하가 입원할 수 있는 병상'을 말한다. 환자가 기본 입원료의 20%만 부담하면 되는 일반병실(6인실)과 달리 병원이 추가 부과하는 상급병실료를 모두 환자가 부담해야 한다. 예를 들어 상급종합병원의 경우 일반병상에 입원하면 환자가 약 1만원을 부담하면 되지만, 2인실은 평균 12만3000원을 내야한다.
이처럼 추가 비용을 부담해야 하는데도 환자들이 상급병실을 선택한 이유를 물었더니, 52.7%가 '일반병실 부족'을 꼽았다. 이어 '치료상 필요해서'(15.0%), '쾌적하고 고급스러운 시설 때문에'(10.1%) 등의 순이었다.
실제로 전체 병원의 일반병실 비중은 평균 74.1%로 일반병상에 대한 환자 요구도(82.2%)에 비해 낮았으며, 상급종합병원은 64.9%에 불과했다. 특히 서울아산병원·삼성서울병원·서울대병원·세브란스병원·서울성모병원 등 '빅 5 병원'의 경우 일반병상 비율이 58.9%로 현저히 낮았다.
일반병실이 부족해 상급병실에 입원한 환자들은 대개 3일 이내에 일반병실로 옮겼다. 상급병실에서 일반병실로 이동한 환자의 62.3%는 상급병실에 3일 이내 머물렀다. 이중 단 하루 만에 일반병실로 옮긴 비율은 25.3%나 됐다.
상급병실에 대한 만족도는 오히려 일반병실 입원 환자 보다 낮았다. 상급병실 입원 환자의 44.8%는 상급병실에 대해 전반적으로 만족했고, 29.7%는 비용 대비 병실에 만족한다고 답했다. 이에 반해 일반병실 입원 환자의 각각 47.2%, 42.9%가 일반병실에 대해 만족도를 나타냈다.
선택진료비의 경우도 마찬가지였다.
현재 상급종합병원은 전부, 종합병원과 병원은 각각 41.4%, 12.2%가 선택진료제를 시행하고 있었다. 지난해 10~12월 병원에서 진료받은 환자·보호자 5343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이중 40%가 선택진료를 이용했다. 특히 빅5 병원에 입원한 환자는 93.5%가 선택진료를 받았다.
그러나 선택진료를 받은 환자 중 자발적으로 선택한 비율은 59.1%에 그쳤다. 나머지는 원하지 않았는데도 불가피하게 선택진료를 받았다고 했다. 환자 만족도를 보면 선택진료 환자의 64.8%가 만족한다고 밝혀, 일반진료를 받은 환자의 만족도(60.7%)에 견줘, 큰 차이는 없었다.
교수팀은 지난해 기준 상급병실료와 선택진료비 규모를 각각 1조147억원, 1조3170억원으로 추산했다. 이는 각각 병원급 이상 총수입의 4.2%와 6.5%, 비급여 총수입의 14.4%와 23.3%를 차지했다.
공단 관계자는 "이번 실태조사 결과를 우선 '국민행복의료기획단'에 제공해 상급병실료와 선택진료비 관련 정책 대안을 마련하는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박혜정 기자 parky@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