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어제 내놓은 관광산업 진흥책은 주목할 만한 내용이 적지 않다. 다양한 세제 지원책, 복수여권 확대 방안이 들어 있는가 하면 논란이 많았던 국적 크루즈선 카지노 허용도 포함됐다. 업계의 요구 수준을 넘어서는 이번 대책에서 관광산업을 국가 성장 엔진으로, 전략산업으로 키우겠다는 정부의 의지가 읽힌다.
정부가 '관광 한국'을 강조한 것이 처음은 아니다. 관광산업의 중요성은 국민 누구나 알고 있다. 다양한 산업의 융ㆍ복합적 성격이 강한 관광산업이 잘되면 일자리도 늘어나고 다른 산업에도 좋은 영향을 미치게 된다. 국가 이미지를 높이는 역할도 해낸다. 하지만 '관광 한국'은 결과적으로 구호에 그쳤다. 세계경제포럼(WEF)이 발표한 2013년 한국 관광산업의 경쟁력은 133개국 중 25위다. 세계 10위권의 국력은 물론 관광객 수(세계 23위)에도 못 미치는 것이 현실이다.
한국 관광산업의 고질은 내세워야 할 장점은 살리지 못하고, 관광의 생명인 서비스 품질은 여전히 낮다는 점이다. 매력적 관광자원인 한류나 의료서비스를 활용하지 못했고 유구한 역사와 문화를 콘텐츠로 만들어 내지도 못했다. 그런 와중에 바가지 상혼과 싸구려 관광이 판친다. 굴뚝 없는 외화산업이라 불리우는 관광산업의 경쟁력을 높이는 데 거대 자본이나 특별한 기술이 필요한 것은 아니다. 외국인이 쉽게 찾아올 수 있도록 하고 좋은 볼거리, 먹거리, 놀 거리를 제공하고 다시 오고 싶은 마음이 들도록 하는 게 전부라면 전부다. 현실은 어떤가. 관광객 설문조사를 할 때마다 '다시 찾고 싶지 않다'는 응답이 적지 않게 나온다.
이번 대책에서 눈길을 끄는 호텔숙박비 부가세 환급이나 크루즈선 카지노 허용은 세수 감소와 도박장 반대 여론에 비춰 볼 때 정부의 부담이 적지 않다. 그런데도 정부가 밀고 나간 것은 긍정적 효과가 더 클 것이라는 판단 때문일 것이다. 기왕에 결심했다면 긴 안목으로 흔들림 없이 나가야 한다.
'가시'와 '대못'을 뽑고 빗장을 풀었다고 외국인이 몰려오거나 관광산업이 단숨에 도약할 리 없다. 새로운 제도가 일선 현장 구석구석에 잘 스며드는 게 중요하다. 한 번의 바가지와 불친절로 관광객이 등 돌릴 수 있다. 정부와 관광업계 종사자의 새로운 각오는 물론 범국민적 관광마인드가 필요하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