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단체들, 대원중 뒷돈 거래 고발...비교 내신평가 성적조작 의혹도 제기
[아시아경제 조민서 기자]"편입생이 돈 줄이다. 특히 중학교 3학년이 이 학교에 편입학하려면 '부르는 게 값'이라는 말이 나올 정도다. 경제적 사회적배려대상자(이하 사배자) 학생들은 노골적으로 학교에서 차별을 받고 친구들 사이에서도 사배자로 낙인이 찍혀 학교를 다니기조차 힘겹다." (대원국제중 졸업생 자녀를 둔 한 학부모)
'국제적 인재 육성'을 위해 설립된 서울의 국제중학교가 설립 5년 만에 비리의 온상이 됐다. 이중 대원국제중학교는 일부 학생들의 편입학 과정에서 학부모들이 거액의 뒷돈을 줬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이에 전국교직원노동조합 서울지부와 민주화를위한교수협의회 등 20개 진보적 교육단체가 뭉친 서울교육단체협의회는 15일 오후 서울동부지검에 대원국제중 법인인 대원학원 이사장 이 모씨와 이 학교 교사 등을 횡령 및 배임 혐의로 고발했다.
전교조 서울지부 관계자는 "학기 중간에 유학 및 전학 등으로 빈 자리가 생기면 학교에서 편입생을 받는다. 학부모들의 제보에 따르면 1~2학년 편입학에는 5000만원이 들고, 3학년은 이보다 액수가 훨씬 더 크다고 들었다"며 "서울시교육청이 감사를 하고 있긴 하지만 솜방망이 처벌로 일관하고 있고, 뒷돈 거래 등은 검찰이 의지를 가지고 밝혀야할 사항이라 여겨 고발을 하게 됐다"고 말했다.
이들이 대원중학교에 제기한 의혹은 세 가지다. 2009년부터 2012년까지 편입학한 106명의 학생들의 뒷돈 입학 의혹과 비교내신 평가에 따른 성적조작 의혹 등이다. 여기다 앞서 한 학부모가 사회적 배려대상자로 입학한 자녀가 이 학교에 다닐 때 10개월동안 매달 50만원씩 총 500만원을 학교 측에 정기적으로 상납했다고 밝힌 것도 포함됐다. 정기적으로 돈을 상납한 학부모가 한 둘이 아닐 것이라는 게 교육단체들의 주장이다.
학부모들이 뒷돈을 주면서까지 국제중학교에 자녀를 보내려는 이유는 국제중이 특목고, 자사고 등 소위 명문고 입시에 유리하기 때문이다. 국제중학교에서 실시하고 있는 비교내신제(고입비교평가)는 보통 9~10월에 치러지는 시험으로, 이 평가 한 번으로 중학교 3년 동안의 내신등급이 결정된다. 2008년 국제중 설립 당시 공정택 전 교육감이 비교내신제 기회를 국제중에 적용해 특혜 논란이 일었다. 이후 곽노현 전교육감 당시 제도를 고쳐 2014년 재학생까지만 고입비교평가에 응시할 수 있도록 했다. 당연히 현재까지도 학부모들은 반발하고 있다.
한 교육관계자는 "외고, 과학고를 가려면 중학교 영어 성적이 필요한 데, 국제중은 공부 잘하는 아이들만 있어서 내신이 불리하다. 그래서 도입된 게 비교내신 평가인데, 이 시험만 잘 보면 특목고에 입학할 수 있다. 중학교 3학년이 국제중학교에 편입학하려면 뒷돈이 더 많이 드는 이유가 이 때문이다. 1~2학년 때 내신을 망친 학생들이 3학년이 돼서 국제중학교로 가려고 한다"고 말했다.
실제로 정진후 의원(진보정의당)이 내놓은 '특성화중 실태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청심국제중은 2008∼2012학년도 졸업생 중 사회적배려대상자를 제외한 일반학생 중 84%가 특목고·자사고에 진학했다. 부산국제중(82.5%), 대원국제중(80.4%), 영훈국제중(76.9%)도 대부분의 학생들이 특목·자사고에 입학했다. 당초 장기 해외 거주학생들에게 교육기회를 주고, 국제적 인재를 양성한다는 설립 취지가 무색하게 입시준비기관으로 전락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김형태 서울시의원은 "중학교는 의무교육인데, 특별한 중학교를 만들어서 돈이 있어야만 들어갈 수 있도록 한 것은 이치에 맞지 않는다. 국제중학교는 기본적으로 설립취소를 해야 하며, 정말 특수한 목적을 가진 학교가 필요하다면 공립으로 돌려야한다"고 지적했다. 이윤미 홍익대학교 교육학과 교수도 "국제중학교는 파행적 운영으로 인한 잡음과 사학비리의 전형을 드러냄으로써 스스로의 존립에 대한 의구심을 강화시키고 있다"며 "국제중학교의 존립에 대한 근본적 재검토가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조민서 기자 summe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