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PL시장 침체ㆍ웅진사태 등 원인
금감원, 상황 점검 통해 각 은행 지도예정
[아시아경제 김현정 기자] 우리ㆍ산업ㆍ농협ㆍ수협 등 일부 은행이 금융당국이 제시한 부실채권비율 목표치를 달성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당국은 부실채권 정리가 미비했던 이유를 파악, 각 은행별 지도에 나설 계획이다.
4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감독당국이 제시한 은행별 부실채권비율을 달성하지 못한 곳은 우리(1.66%)ㆍ산업(1.48%)ㆍ농협(1.76%)ㆍ수협은행(1.99%) 등 4곳으로 나타났다. 앞서 당국은 각 은행에 평균 1.3%를 목표치로 정했지만, 자산규모 각 은행의 상황에 따라 1.12~1.6%로 차등 제시돼 있다. 평균을 기준으로는 국민(1.34%), 광주(1.33%), 제주(1.49%), 기업(1.39%)은행 등도 목표치에 못미쳤지만 개별 목표치를 기준으로는 아주 미세하게 넘겼거나, 조건을 충족했다는 설명이다.
반면 수출입(0.66%), 경남(0.94%), 하나(1.00%), 신한(1.08%), 부산(1.11%) 등 은행은 부실채권비율이 다소 낮았다.
금감원 관계자는 각 은행들이 부실채권비율을 맞추지 못한 배경에 대해 "침체된 시장의 영향이 가장 컸다"면서 "매각이 잘 안됐을 뿐 아니라 웅진 사태 등 당초 예상못한 신규 부실이 발생해 관리하고자 했던 비율을 넘긴 것"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시장상황으로 불가피했는지, 부실채권을 정리하려는 개별 은행의 노력이 부족했는지 등을 구체적으로 파악해 후자의 경우엔 지도공문을 보내 관리를 독려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작년 말 기준 국내은행의 부실채권비율은 1.32%로 전년 대비 0.04%p 하락했다. 부실채권 규모는 18조3000억원으로 같은 기간 5000억원 줄었다. 웅진 등 일부 대기업 그룹의 법정관리 신청 및 가계부실 증가로 3분기까지 부실채권 비율이 1.56%를 기록해 전년 말(1.36%) 대비 크게 상승했지만, 4분기 은행들이 부실채권 정리에 적극 적으로 나선 결과라는 게 금감원의 평가다. 은행들은 4분기 동안 9조8000억원의 부실채권을 정리한 것으로 집계됐다.
부문별로는 기업여신(1.63%) 부실채권비율은 중소기업여신을 중심으로 전년 대비 0.10%p 하락했다. 가계여신(0.69%)은 집단대출 분쟁 등에 따른 주택담보대출 부실이 늘면서 0.09%p 상승했다. 신용카드채권(1.48%) 부실채권비율은 내수경기 부진 등의 영향으로 0.12%p 올라갔다.
지난 한해 전체 신규부실 발생규모는 24조2000억원으로 전년보다 5000억원 늘었다. 기업여신 신규부실이 18조5000억원, 가계여신과 신용카드채권은 각각 5조원, 7000억원을 기록했다.
지난해 국내은행 부실채권 정리실적은 24조8000억원으로 전년 대비 5조원이 줄었다. 정리방법별로는 대손상각(8조8000억원), 매각(6조8000억원), 담보처분등을 통한 여신회수(5조5000억원), 여신정상화(2조7000억원), 기타(1조원) 순이다.
김현정 기자 alphag@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