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대전도시철도 2호선 차종, 자기부상열차?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8초

정부 예비타당성조사 통과, 염홍철 대전시장, “차종과 건설방식 다시 검토”

대전도시철도 2호선 차종, 자기부상열차? 염홍철 대전시장이 21일 긴급브리핑 때 대전도시철도 2호선의 예비타당성조사 통과내용을 설명하고 있다.
AD


[아시아경제 이영철 기자] 대전시 도시철도 2호선이 정부의 예비타당성조사를 통과했다.

염홍철 대전시장은 21일 긴급브리핑을 갖고 “시가 추진 중인 대전도시철도 2호선의 예비타당성 조사결과 비용대비 편익(BC) 0.91, 종합분석(AHP) 0.508로 타당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말했다.


염 시장은 이어 “전체사업비 20% 범위에서 노선을 바꿀 수 없지만 차종과 건설방식변경은 가능하다”며 “차종은 자기부상열차로 신청했지만 시간여유가 있는 만큼 충분히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현재 인천에서 운행 중인 자기부상열차 시범운행에 시장을 비롯한 시관계자, 언론, 시의원들과 체험토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지난해 염 시장은 예비타당성조사 신청을 ‘자기부상열차, 모든 구간 지상화’로 했다.


예비타당성조사 통과를 최우선과제로 삼아 가장 비용이 적게 드는 쪽으로 신청한 것이다.


시민단체는 대전시가 예타통과를 위해 도시철도 2호선 건설비를 지나치게 많이 줄였다는 의혹을 제기했다.


대구모노레일의 경우 24km 건설에 1조4282억원(km당 595억원)인데 비해 몇년이 지난 대전이 28.6km 건설에 1조2770억원(km당 446억원)으로 계획하고 있다.


염 시장은 또 노선과 건설방식, 차종을 여러 번 바꿨다. 지하 중전철을 주장하다 지상경전철로 바꿨다. 이것을 자기부상열차로 바꿨다가 예타 신청 땐 검증이 안 됐다는 이유로 모노레일로 신청했다.


그리고는 올해 다시 자기부상열차로 바꿨다. 잦은 정책변경으로 반발과 논란이 빚어지자 대전도시철도 민·관·정협의회를 만들어 여론을 듣겠다고 했으나 예타신청과정에서 일방적으로 핵심사항을 바꿔 시민단체가 위원회 탈퇴를 선언했다. 소통이 아닌 일방통행식 운영이 이유가 됐다.


염 시장은 이날 긴급브리핑에서 공법에 대해 “현재 도시철도2호선 모든 구간의 저심도(약전철) 공법도입을 검토 중”이라면서도 “관련용역결과는 내년 1월 또는 2월이면 나온다”고 말했다. 도시철도 2호선 건설방식이 기존 지상고가에서 저심도로 바뀔 수 있음을 밝힌 것이다.


대전시의 도시철도 2호선 건설사업은 예비타당성조사란 1라운드만 끝난 셈이지만 기종, 건설방식 등 아무 것도 결정난 게 없다.




이영철 기자 panpanyz@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