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양낙규 기자]국방부 인터넷이 멈췄다. 인터넷이 멈춘 것은 서울 용산구 국방부청사로 전력수요가 갑자기 늘어나 발생한 정전 때문이다. 북한의 사이버테러를 대비하겠다는 군당국이 심장에 해당하는 정부청사내 전력공급조차 관리를 하지 못해 인터넷이 멈춘 것은 관리허술이라고 지적된다.
국방부 청사내 정전이 발생한 시각은 20일 새벽 1시 30분. 이 시간부터 정전은 인터넷서버에 영향을 미치면서 인터넷이 모두 멈췄다. 전기공급을 정상화하는 데 걸린시간은 5시간. 전력은 오전 6시에야 들어왔다. 하지만 인터넷은 오전 7시에 일부 부서만 정상화됐다.
군은 지난해 9월 정전대란때도 군 전방관측소(GOP)와 해안 레이더 기지 등에 전력이 끊겼다. 전력이 끊긴 곳만 육군 116곳과 공군 8곳 등 모두 124곳이다. 서울 3곳 중에선 수도방위사령부 일부 건물과 검문소 등이 30분가량 정전됐다. 강원에선 GOP, 사단 사령부 건물 등에서 30분 정도 전기가 차단됐다. 경기의 해안 소초들, 전남의 해안 레이더 기지들도 정전됐다. 공군은 주로 전투비행단의 건물들을 중심으로 약 50분간 정전됐다.
정전으로 인해 인터넷서버까지 영향을 미쳤다. 군당국은 일단 인터넷이 멈춘 것은 별문제가 없다는 반응이다. 군 내부자끼리 작전 등 공유가 가능한 인트라넷을 별도로 운영하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하지만 디도스(DDoSㆍ분산서비스거부) 등 북한의 사이버테러에 대비하기 위해 사이버방호사령부까지 창설한 군당국이 합동참모본부 등 주요 지휘소가 위치한 청사내 서버조차 관리못했다는 비판은 피하기 힘들 것으로 보인다.
군당국은 지난 2010년 1월 사이버사령부를 창설했다. 당시 쏟은 예산만 30억원. 당시 500여명에 불과한 부대원을 3년 이내에 2000~4000명으로 늘려 사이버전(戰) 등을 준비한다는 계획도 세웠다.
군 관계자는 "청사내 정전은 새로 지은 합참청사의 시험가동 등 여러 요인이 있을 수 있으며 원인을 파악중"이라고 말했다.
양낙규 기자 if@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