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진희정 기자]노후 산업단지를 탈바꿈시키는 '산업단지 재생사업'이 본격적으로 시작됐다. 18일 국토해양부에 따르면 전주 제1산업단지가 노후산업단지 재생계획 수립을 마치고 지난달 첫 재생사업지구로 지정됐다. 이어 대전, 대구, 부산 등 3곳의 노후산업단지도 재정비사업에 들어갔다.
우리나라는 1962년 울산 공업센터, 1964년 구로 수출공업단지가 조성되면서 산업단지 시대가 시작됐다. 이후 50년간 눈부신 성장을 거듭하며 산업단지 1000개 시대를 눈앞에 두고 있다.
역사가 오래되다 보니 각 산단은 시설 노후화가 심각한 편이다. 산단마다 만성적 주차난과 물류 시설 부족 등의 문제를 겪고 있다. 녹지가 부족하고, 주변 시설이 열악하다보니 젊은이들은 산단에 가서 일하길 꺼린다. 강호제 국토연구원 책임연구원은 "국내 경제성장을 주도했던 산업단지는 기반시설의 노후화와 지원시설의 부족, 환경오염, 도심공간과의 부조화 등으로 재정비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실례로 국토부가 조사한 자료에 따르면 노후산단과 공단 42개 가운데 대부분이 도심으로부터 6㎞이내에 입지해 있고, 화물차량 진출입이 곤란한 폭 10m이하의 도로다. 국토부도 노후산단의 리모델링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인식해 지난 2009년 재생사업을 위한 기반을 구축했다. 산업입지법령 개정을 통해 재생사업의 근거를 마련한 것이다. 준공 후 20년 이상 경과한 산업단지 외에도 공업지역과 주변지역도 포함해 사업대상을 확대시켰다.
이를 위해 노후도가 심각한 4곳의 산단을 우선사업지구로 선정해 환경을 개선키로 했다. 먼저 재생사업지구로 지정된 전주시 덕진구 팔복동 일원 168만㎡ 부지에 위치한 전주 제1산업단지는 준공된지 43년이 지난 노후 산업단지다. 오는 2015년까지 탄소·부품소재 등 도시형 첨단산업으로 업종전환이 추진된다. 특히 남북축 팔과정로 확장을 비롯해 노상주차장과 테마형공원 신설 등 그동안 열악했던 도로·녹지 기반시설을 대폭 확충하게 된다.
대전, 대구, 부산 3개 지역의 노후산업단지 재생사업도 탄력을 받고 있다. 지난 1973년 만들어진 대전 1, 2산업단지는 232만㎡로 현재 주민동의가 49% 정도 수준에 이르렀다. 국토부는 조만간 주민공람 절차를 거쳐 재생사업지구 지정 절차에 착수키로 했다. 이어 내년 중순께 시행계획 수립하고, 원활히 진행될 경우 내년 하반기에 공사가 시작된다.
241만㎡규모의 서대구·대구 제3산업단지는 주민동의 절차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50% 동의 요건은 이미 충족한 상태로 관계부처와 협의를 통해 곧 지구지정에 들어갈 예정이다. 부산사상공단도 기본구상을 마친 상태에서 재생계획 수립에 들어간다. 단 부산사상공단은 면적이 662만㎡에 달하는 대규모 공단이어서 다른 산업단지와 달리 사업규모를 구체화하기 위한 기본구상 절차를 밟고 있다.
국토부는 올 하반기부터 전주·대전·대구는 산업단지 재생사업 시행계획 수립에, 부산은 재생사업지구 지정을 위한 재생계획 수립에 착수할 예정이다. 이를 위한 예산 40억원을 3분기 중 배정키로 했다. 이와 함께 내년 본격적인 사업 착수를 위해 관계부처와 2013년 국비예산 확보 등을 협의중이다. 또 수익성 부족으로 인한 사업시행 어려움을 고려해 재생단지내 도로와 주차장, 녹지 등 기반시설 확충이 재정지원으로 추진된다.
국토부 관계자는 "산단을 재생하기 위해선 기존 공장의 이전이 필요해 사업기간이 오래 걸릴 수밖에 없다"며 "우선사업지구를 운영하면서 개선할 부분과 문제점 찾아서 지침을 만들고 필요할 경우 법률로도 만들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 국토부는 지난달 국토연구원과 한국토지주택연구원(LHI)에 연구용역을 맡긴 상태로 결과는 내년 5월에 나온다. 국토부 관계자는 "연구용역을 바탕으로 우선사업지구 뿐만 아니라 노후화된 산단을 개선하기 위한 중장기 로드맵이 마련된다"며 ""노후산단 재생사업이 본격적으로 시행되면 도로ㆍ녹지 등 기반시설이 열악하고 인근 주민들과 분쟁이 끊이지 않았던 노후 산업단지가 도심내 첨단산단으로 재탄생하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진희정 기자 hj_jin@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