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김정일 사망]한·미, '애도'란 말 쓰지 않은 까닭은?

시계아이콘01분 05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글자크기

[아시아경제 조영주 기자] 우리 정부가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의 사망에 대해 정부조문단을 파견하지 않고 김대중 전 대통령과 정몽헌 현대그룹 회장 유족들의 방북 조문을 허용한 것은 남북관계와 국내 보수진영을 고려한 절충안으로 풀이된다.


이희호 여사를 비롯한 김 전 대통령측 인사들과 현정은 현대그룹 회장 등의 방북을 통해 북한과의 관계 개선 의지를 전하면서도 '천안함ㆍ연평도 도발을 잊었느냐'는 보수진영의 비판으로부터 살짝 비켜나갈 수 있기 때문이다. 이명박 대통령은 20일 오전에 열린 외교안보자문단 조찬간담회와 오후 2시부터 관계장관들이 참석한 외교안보장관회의에서 이 문제를 집중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 관계자는 조문단 파견과 관련 "연평도 포격도발이 있은 지 1년밖에 되지 않았고 북한의 사과도 받지 못한 상황에서 정부조문단 파견은 적절하지 않다"고 지적했다. 하지만 정부는 향후 남북관계 개선이 필요한 만큼 조문단 파견을 검토해야 한다는 의견이 여권내에서도 제기돼 여러 방안을 두고 고심을 거듭했다는 것이다.


정부는 또 담화문을 통해 "북한 주민들에게 위로의 뜻을 전한다"고만 밝히고 직접적인 조의(弔意) 표명은 하지 않았다. 이 말은 여러 해석을 낳고 있다. 일각에서는 '사실상 조의표명을 한 것'이라고 해석하고, 다른 편에서는 '조의표명을 하지 않았다'는 반응이다.

'조의'는 '남의 죽음을 슬퍼한다'는 뜻이다. 대개 '추모한다', '애도한다', '명복을 빈다' 등의 표현을 통해 고인에게 조의를 표명하는 관례다. 정부는 김 위원장의 사망에 대해 조의를 표명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결론을 내렸다. 청와대측은 "말 그대로 이해해달라"고 했다.


미국도 성명을 통해 "미국은 북한 주민의 안녕에 대해 깊이 우려하며, 김정일 북방위원장의 죽음에 따른 어려운 시기에 대해 염려와 기도를 보낸다"고 밝혔다. 하지만 조의(또는 애도)의 표현인 '콘돌런스(condolence)'라는 말을 사용하지 않았다.


청와대 관계자는 "우리 정부는 그동안 북한 정권과 주민들을 분리해 접근하는 정책 기조를 펼쳐왔다"면서 "이번 담화문에서도 이 같은 뜻이 내포돼있다"고 설명했다.


정부의 담화문 발표시기도 예상보다 빨랐다. 국민 여론 수렴 등을 위해 다소 시간이 걸릴 것이란 관측에도 불구 김 위원장의 사망발표 다음날 우리 정부의 입장을 정했다. 조의 표명과 조문단 파견을 둘러싸고 찬반 논란이 가열되자, 자칫 '남남 갈등'이 확대될 수 있어 이를 하루 빨리 봉합하겠다는 의지로 보여진다.




조영주 기자 yjcho@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