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박근혜 앞장세운 與, 세가지 쟁점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5초

한나라 간판 떼나-공천권 몰아주기-MB와 결별

박근혜 앞장세운 與,  세가지 쟁점
AD

[아시아경제 심나영 기자]한나라당이 '박근혜 비상대책위원회(이하 비대위)' 출범에 합의했다. 한나라당은 19일 전국위원회를 소집한다. 여기서 비대위가 최고위원회의 권한과 역할을 위임받아 전권을 행사할 수 있도록 당헌당규를 개정한다. 내년 4·11총선을 앞두고 '박근혜 체제'로 들어선 것이다. 그러나 쟁점은 남아있다. 한나라당을 폐기처분하고 새로운 당을 만들지, 공천권까지 박 전 대표에게 모두 맡길지, 이명박 대통령과의 관계 설정은 어떻게 해야 할 지가 앞으로의 과제다. 모든 것은 내년 총선에서 살아남아야한다는 절박함을 향해있다.


◆한나라당 간판 내리나= 내년 총선의 위기감이 팽배한 수도권 쇄신파 의원과 친이명박계는 당의 간판을 내리길 원한다. 박 전 대표가 비대위원장을 맡아 당을 수습한 직후 내년 4월 전 1996년 민자당이 신한국당으로 바뀐 것처럼 재창당 해야한다는 것이다. 반면 친박근혜 의원들은 이런 주장에 반대하고 있다. 총선까지 한나라당 이름으로 박근혜 비대위가 유지돼야 한다며 맞선다.

겉으론 양측이 '한나라당을 버리는 것 만이 살길' 대 '새당을 만드는 것은 소모적'이라는 논리 싸움이다. 그러나 속내는 따로 있다. 친이계와 쇄신파는 박 전 대표를 전면에 내세워 단시간에 최대한 '활용'해 지상과제인 당선 목표를 달성하겠다는 의도다. 친박계는 재창당을 하면 내년 1월~2월 사이 열어야 할 전당대회를 피하고 싶어한다. '1인체제→집단지도체제'로 넘어가면 전당대회에 나설 친이계 대선주자에게 권력 공간을 내줘야하기 때문이다. 결국 박근혜 전권 위임은 물 건너가게 된다. 한나라당은 13일 '당 폐기냐 유지냐'를 결정하기 위한 의원총회를 연다.


◆朴 공천권까지? 비박 불안감 고조= 재창당 여부에 걸려있는 '1인체제→집단지도체제'로의 변화에는 내년 총선 공천권을 박 전 대표 혼자 갖느냐, 나눠 갖느냐의 문제도 걸려있다. 당내 친이계와 쇄신파가 재창당과 전당대회를 강력하게 요구하는 것에는 이런 배경도 깔려있다. 이들은 친박계의 '총선까지 박근혜 비대위 체제 유지'와 관련 "당의 위기 상황 속에 자기들만 기득권을 챙기려 한다"고 경계하고 있다.


친박계는 박 전 대표의 공천 개입은 없을 것이라 단언한다. 친박계 허태열 의원은 "나는 박 전 대표가 대표를 지내던 때 사무총장과 공천심사위원장까지 맡았었다"며 "박 전 대표 스타일은 공천 원칙만 만들고 전적으로 공심위에 맡기는 것이며 일체 개입하지 않는 것"이라며 비박(非朴) 진영의 불안감을 달래려 애썼다.


◆어떤식으로든 MB와 결별해야= 박근혜 체제로 들어서며 당이 이명박 대통령과 완전히 결별 해야한다는 주장도 이어진다. 쇄신파와 일부 친박계 의원들은 무엇보다 '이명박 정당'이미지를 벗어나는 것이 우선이라는 주장이다. 재창당을 요구하는 쇄신파는 재창당 과정에서 이 대통령이 새로운 당에 입당하지 않는 방식의 '대통령 탈당' 방식을 요구한다. 친박계도 이 대통령과 어떤 방법으로든 선을 그어야 한다는 데는 공감하고 있다.




심나영 기자 sny@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