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2011국감]캠코 "저축銀 PF 사업장 정상화후보 30개 선정"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2초

[아시아경제 이지은 기자]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가 보유중인 저축은행 프로젝트파이낸싱(PF) 채권과 관련, PF사업장 정상화를 위한 후보 30개를 선정했다고 밝혔다.


장영철 캠코 사장은 29일 국회 정무위원들에게 발표한 '국정감사 업무현황' 자료에서 이같이 밝히고 "외부평가기관의 사업성 분석 등을 거쳐 최종 정상화 사업장을 결정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캠코는 이미 지난 1월 정상화 추진을 위해 PF사업 정상화추진단을 설치·운영해 왔다.


이밖에도 보유중인 PF채권에 대해서는 사업장별 관리방안을 마련해 정리하기로 했다. 캠코는 "매각가능 사업장은 신속히 매각을 추진하되, 시장상황 등을 감안하여 매각시기를 신축적으로 조정할 것"이라고 밝혔다.

사후정산조건부로 인수한 저축은행 PF채권의 정산기한은 최대 5년으로 연장한다.


이에 따라 공사 고유계정으로 인수한 1·2·3차 PF채권의 정산기한은 기존 3년에서 5년으로, 구조조정기금으로 인수한 3차 PF채권의 정산기간은 기존 3년에서 4년 6개월로 늘어난다.


공사는 내년부터는 자체 회계를 통해 기업의 부실자산도 인수하겠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캠코법 개정을 추진하고, 공사회계로 기업부실채권을 포함한 부실자산을 인수할 수 있도록 바꿀 예정이다.


캠코는 "오는 2012년부터는 구조조정기금의 추가 재원 조성계획이 없어, 금융회사가 보유한 기업부실자산의 인수 공백이 발생할 것"이라며 캠코법 개정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보유한 채권 및 주식 등의 자산은 운용시한인 내년 11월까지 최대한 현금화를 추진한다.


부실채권은 일정시점을 기준으로 집합화(Pooling)해 일괄매각(Outright Sale)하고, 대우조선해양·쌍용건설 등 상장주식은 공동매각 추진하되 어려울 경우 공사 지분을 블록세일하는 방향도 검토할 예정이다.


교보생명 등 비상장주식은 기업공개 추진 여부를 확인해 구주매출, 경쟁입찰방식 등으로 매각할 방침이다.




이지은 기자 leezn@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