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페이스북 '一生공유'로 새바람 노린다

시계아이콘01분 38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글자크기

페이스북vs구글플러스...SNS '대변혁'

[아시아경제 김수진 기자]페이스북이 대대적 개편을 실시한다. 최고경영자(CEO) 마크 주커버그는 이번 개편으로 페이스북이 "당신을 표현하는 새로운 방식이 될 것"이라며 자신감을 드러냈다. 이용자들의 '일생'을 한 눈에 보여주는 '타임라인(timeline)'기능과 영화, 음악과 같은 미디어와의 접목 등 이번 개편은 페이스북을 더욱 고도화된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로 끌어올렸다는 평이다. 여기에 최근 시범서비스를 끝내고 일반에게 가입을 개방한 구글의 '구글플러스(Google+)'까지 SNS 업계가 변혁의 시기로 접어들게 됐다.


22일(현지시간)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페이스북 개발자 컨퍼런스 'f8' 기조연설에 나선 주커버그가 공개한 '타임라인' 기능은 기존 프로필의 기능을 한층 더 강화한 것으로 이용자들이 수년간 올려놓은 사진과 동영상, 글 등을 한 눈에 보여준다. 자주 쓰는 애플리케이션도 올려놓을 수 있다. 일종의 개인적 스크랩북인 셈인데, 페이스북이 만들어지기 이전 기간까지 지원해 원하는 대로 자신의 '일생'을 친구들과 공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970년도 출생, 1995년도 결혼까지 담을 수 있도록 외연이 크게 확장됐다.

'좋아요(Like)' 버튼의 역할도 분화된다. 페이스북이 아닌 다른 서비스와도 연동되는 '좋아요' 버튼은 지인들끼리 콘텐츠를 공유하고 추천할 수 있는 확산 기능을 맡아 왔다. 그러나 '좋아요'라는 표현의 한계 때문에 비극적인 사건이나 선호하지 않는 것을 공유하기는 적절하지 않다는 요구가 잇따랐다. 앞으로는 '좋아요'대신 다양한 표현을 이용한 이용자들간의 교류가 가능해진다. '방문했어요(visited)', '요리했어요(cooked)'등이 다양하게 지원되는 것이다.


주로 게임에 집중돼왔던 페이스북 애플리케이션의 영역이 음악, 영화, 텔레비전 프로그램 등 각종 미디어와 요리, 패션 등 라이프스타일까지 아우르게 된 것 역시 주목할 만 하다. 앱의 사용 상태는 타임라인에 바로 반영된다. 친구가 어떤 음악을 듣고 무슨 영화를 보고 있는지 바로 알 수 있게 되는 셈이다. 페이스북은 넷플릭스 등 여러 콘텐츠사업자와 손잡고 있으며, 플랫폼으로서 페이스북의 위상도 한결 높아지게 됐다.

주커버그는 이 날 "최근 페이스북 이용 기록이 일 5억명을 돌파했다"고 언급하기도 했다.


7억 5000만명의 이용자를 보유한 페이스북이 재차 입지를 다지는 한편, 세계 최대 인터넷기업 구글도 도전장을 던졌다. 6월말부터 자사 SNS인 '구글플러스' 시범 서비스를 운영해온 구글은 20일(현지시간) 공식 출시를 선언했다.


시범 서비스 3주만에 2000만명의 이용자가 몰리며 페이스북의 '맞수'가 될 가능성을 보여줬던 구글플러스는 기존의 구글 프로필 등 구글의 소셜서비스를 한 데 통합한 것으로 지난 8월에는 사용자 2500만명을 돌파하기도 했다. 시범 서비스 기간동안 99개에 달하는 신기능을 더했다는 설명이다. 영상채팅 기능인 '행아웃(Hangout)'을 지원, 안드로이드폰 이용자들이 구글플러스 모바일 앱으로 지인들과 영상채팅을 할 수 있도록 한 점도 주목받았다.


업계에서는 구글이 페이스북과의 본격적 경쟁에 뛰어든 것으로 보고 있다. 'f8'직전에 공식 출시를 결정하며 이슈 선점에 나선 것 역시 페이스북에 대한 정면도전이라는 것이다. 지메일, 유튜브 등 기존 구글 서비스와 결합하면 페이스북을 위협할 만한 서비스로 성장할 수도 있다는 전망이다. 특히 안드로이드라는 모바일 운영체제(OS)를 쥐고 있는만큼 구글의 성장세는 더 강력해질 수 있다.


한 업계 관계자는 "SNS 시장은 한 치 앞날을 알 수 없을 만큼 경쟁이 치열하다"며 "페이스북의 공세로 '마이스페이스'도 한순간에 무너지지 않았느냐"고 되물었다. 세계 최대 SNS 업체였던 마이스페이스는 페이스북 등장 2년만에 이용자를 빼앗기고 몰락하게 됐다. 그는 "(둘 중)어느 서비스가 '대세'로 재등장할지 지켜봐야 한다"고 덧붙였다.




김수진 기자 sjkim@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