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들이 이중고에 시달리고 있다. 고용 시장이 나아지고 있다지만 청년들은 여전히 일자리를 구하기 어렵다. 지난달 말 현재 청년 실업률은 7.6%로 전체 실업률(3.3%)보다 두 배 이상 높다. 설사 일자리를 구하더라도 낮은 임금을 감수하지 않으면 안 되는 딱한 상황이다. 이른바 '워킹 푸어(working poor)' 신세다.
현대경제연구원은 어제 전체 근로자의 임금 대비 청년층 임금 수준이 지난 2007년 78.2%에서 올해 74.3%로 낮아졌다고 밝혔다. 물가를 감안한 실질임금 수준은 2009년 -1.3%, 2010년 -0.8%에서 올해는 -1.7%로 감소 폭이 크게 커졌다. 전체 연령의 실질임금 수준이 2010년 2.8% 오르고 올해 0.7% 줄어든 것과 비교하면 심각성이 드러난다.
더 큰 문제는 청년층 내에서도 양극화가 깊어지고 있다는 점이다. 청년층 취업자 중 고졸자의 임금을 100으로 했을 때 대졸자의 임금지수는 2007년 141에서 올해 150으로 더 벌어졌다. 또 정규직의 임금을 100으로 할 때 비정규직 임금은 2007년 83에서 올해는 71로 역시 격차가 더 커졌다.
청년층의 임금 수준이 악화하고 있는 요인은 도ㆍ산매업 및 음식점ㆍ숙박업, 사회복지, 교육, 단순 노무 등 저임금 업종 취업 비중이 높기 때문이다. 올 3월 기준으로 저임금 업종의 청년층 비중은 46%다. 전체 근로자의 종사 비율(35%)에 비해 11%포인트나 높다. 양질의 일자리를 구하기 어렵자 상대적으로 취업이 쉬운 저임금 산업으로 몰리고 있는 것이다.
2008년 금융위기 때 공공기관과 상당수 민간 기업들은 기존 직원의 임금에는 거의 손대지 않고 신입 사원들의 연봉을 많게는 30%가량 삭감하는 등 짐을 지웠다. 하지만 경기가 회복되면서 간부들의 봉급은 올렸지만 하위직은 그대로 둔 곳이 많다. 그도 한 요인이다.
청년층의 일자리 부족과 낮은 임금 등 고용 시장의 심각한 구조적 문제를 방치해서는 안 된다. 신용불량자 양산에 결혼과 출산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등 갖가지 사회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기업은 적극적인 투자로 일자리를 창출하고 정부는 정책적으로 뒷받침하는 등 함께 나서야 한다. 학력 간, 대ㆍ중소기업 간, 정규직과 비정규직 간 임금 격차도 줄여나가야 함은 물론이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