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하반기, 기업경기 불확실성 지속..BSI 하락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10초

[아시아경제 이창환 기자] 전국경제인연합회는 매출액 기준 600대 기업을 대상으로 한 기업경기실사지수(Business Survey Index) 조사 결과 7월 전망치는 지난 6월의 104.3에 비해 하락한 101.3을 기록했다고 28일 밝혔다.


전경련은 올 들어 지난 6월을 제외하고 기업경기전망은 매월 상승과 하락을 반복하는 추세를 나타내고 있어 하반기에도 경기 불확실성은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특히 제조업 부문의 전망치는 지난 2월 97.4 이후 5개월만에 기준치 100을 하회하는 98.7을 기록했다. 이는 그리스 재정위기 재부각을 비롯한 대외적 위협요인이 급부상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대내적으로도 6월 기준금리 인상으로 인한 기업들의 이자부담 증가와 함께 가계부채 부담 가중 우려 등이 지속되고 있기 때문이라는 설명이다.


우선 대외적 측면에서 그리스의 재정위기가 재부각되며 S&P, 무디스 등 주요 국제신용평가사가 그리스에 대한 신용등급을 최근 세단계 강등해 국내시장에서 유럽계 자금의 급격한 이탈 가능성이 우려되고 있다.

만약 그리스 재정위기 사태가 유럽 주요국으로 확산될 경우 지난해 기준 우리나라 총수출의 11.5%를 차지하는 유럽지역에서의 수출 둔화가 불가피해 수출의존도('10년 46.1%)가 높은 우리 경제에 부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했다. 뿐만 아니라 중국 긴축 우려, 미국 경기 회복지연 가능성 등의 대외 불안요인 또한 우리 경제의 잠재적 위협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는 상황이다.


대내적 측면에서는 지난 10일 기준금리가 3개월만에 0.25%p 인상됐으며 이에 따른 기업들의 이자비용 부담이 가중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1분기 기준 801.4조원에 달하는 가계부채를 고려할 때 기준금리 인상으로 인한 가계부담 또한 증가할 것으로 예상돼 향후 경기전망을 어둡게 하고 있다.


전망치를 업종별로 보면 서비스업(104.6)이 하계휴가시즌을 맞아 긍정적으로 전망된 반면 제조업(98.7)은 지난달(105.3)에 비해 크게 부정적으로 전망돼 5개월만에 기준치 100을 하회했다. 세부업종을 보면, 1차금속·금속가공업(84.1), 석유정제·화학제품(90.7), 고무·플라스틱·비금속광물(92.0), 자동차·트레일러·기타운송장비업(96.2)을 중심으로 하락세를 나타냈다.


한편 기업경기실사지수 6월 실적치는 99.6을 기록하였다. 부문별로는 내수(104.4), 투자(104.0), 수출(102.7) 등이 호조를 보인 반면 재고(109.6), 고용(99.3), 자금사정(98.2), 채산성(97.6)은 부진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실적치를 업종별로 살펴보면 제조업 중 경공업(95.9)은 섬유·의복·가죽·신발(91.3), 음식료품(97.1)의 실적이 저조했으며 펄프·종이·가구(100.0)의 실적은 전월과 동일한 수준이다. 중화학공업(97.9)에서는 자동차·트레일러·기타운송장비(117.0)의 실적이 좋았던 반면, 전자·통신장비(88.6), 석유정제·화학제품(90.7) 등이 전월대비 낮은 실적을 거뒀다. 서비스업은 지식·오락서비스업(128.6)과 운송업(112.9), 도·소매업(109.1)의 실적은 좋았으나, 전기·가스업(85.7), 컴퓨터프로그램·정보서비스업(90.9) 등은 저조했다.




이창환 기자 goldfish@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