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전국 아파트값 소폭 상승..서울 14주 연속 보합세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7초

[아시아경제 박충훈 기자]이번 주 전국 아파트값이 상승세를 기록했다. KB 주간아파트 가격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전국의 아파트 매매가격은 대전과 광주 등 지방의 강세로 지난주 대비 0.2% 상승했다.


지역별로는 광주 남구와 대전 유성구가 1.2% 올라 가장 큰 상승폭을 보였다. 이외에 충남 연기군(0.9%)과 춘천(1%), 목포(0.9%) 등의 아파트 가격이 올랐다.

그러나 서울권 아파트 가격은 큰 변동없이 14주간 계속해서 보합세를 보이고 있다.
강북의 경우 동대문구는 중대형 급매물이 늘며 0.1% 하락했으며 은평구는 가격하락에 대한 기대가 커지며 약보합세를 보였다.


강동구는 보금자리 주택 예정지로 고덕·강일지구가 지정됨에 따른 물량 부담으로 매매가가 0.1% 내려갔다. 송파구는 매매수요 부족으로 거래가 부진한 가운데 매물이 증가하며 약보합세를 보였다.

지방별로는 대전 유성구가 과학벨트 지정 발표 이후 매도자들이 가격 상승을 예상하며 매물을 내놓지 않은데다 실수요 위주의 매수자들이 늘어 전체적인 집값이 1.2% 올랐다.


경기 과천지역은 정부청사 이전문제와 보금자리 주택 후보지로 과천지식타운이 지정됨에 따라 기존 아파트에 대한 매수심리가 다소 위축됐다. 집값은 0.6% 하락했다.


충남 연기군은 세종시에 편입 예정인데다 과학 벨트 기능지구 확정 등의 호재로 가격상승을 예상한 집주인들이 매물을 회수하며 아파트가격이 0.9% 올랐다. 연기군은 전세가 역시 1.2% 동반상승했다.


전셋값은 물량이 부족한 지방을 중심으로 0.2% 올랐다. 가장 많이 상승한 지역은 연기군으로 1.2% 올랐으며 청주 흥덕구(1.2%), 광양(0.9%), 목포(0.9%), 오산(0.8%)등이 뒤를 이었다. 전세물량 공급이 부족한 지역의 비중은 74.7%로 지난주보다 수급 불균형이 다소 감소했다.


서울 아파트 전셋값은 2주 연속 소폭 상승했다. 관악구는 여름방학이 다가오며 미리 전세를 구하려는 수요가 늘어 0.2% 상승했으며, 강남구도 대치동 청실 아파트 재건축에 따른 이주 수요와 여름방학 학군 수요 등으로 0.2% 올랐다. 지방별로는 부산(0.6%), 울산(0.8%), 광주(0.8%)의 전세가격이 올랐다.




박충훈 기자 parkjovi@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