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삼성LCD 중국공장, 이르면 내달 첫 삽 뜬다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1초

[아시아경제 박성호 기자]삼성이 이르면 다음 달에 중국 쑤저우(蘇州) LCD 공장 착공에 돌입한다.


21일 삼성전자에 따르면 이 날 장원기 사장은 베이징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중국 TV 업체들에게 TV용 패널의 원활한 공급을 위한 LCD 공장 투자가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으며 공장 건설을 위한 제반 준비는 거의 끝난 상태"라고 밝혔다.

현재 남은 절차는 삼성 쑤저우 LCD 공장 현재 합작계약 등에 대한 상무부의 최종 승인절차와 이후 법인설립 등기 정도다.


장 사장은 "다음달에 착공이 되면 공장 건설에 1년, 설비 반입과 설치에 6개월 정도가 소요돼 2013년 초부터 양산체제에 들어갈 것"이라고 내다봤다.

삼성 쑤저우 LCD 공장에서는 월 7.5세대 LCD 패널 10만대 가량을 생산하게 돼 최대 25억달러의 매출이 예상된다.


장 사장은 이날 오전 베이징 인터콘티넨탈 호텔에서 중국측의 한 TV 제조업체의 대표와 쑤저우 LCD 공장과 관련한 합작투자계약 조인식을 갖고 지분 투자와 경영 방식 등에 합의했다.


삼성전자는 쑤저우 LCD 공장에 30억달러를 투자해 60%의 지분을 갖고 경영과 관리를 맡게 되며 나머지 30%는 해당 공업단지를 관리하는 공단 격인 쑤저우공업원구가, 그리고 10%는 중국의 한 TV 제조업체에 돌아간 것으로 전해졌다.


삼성전자 측은 당초 70% 지분을 확보할 방침이었으나 중국 업체에 10%의 지분을 주는 대신 각각 7.5세대와 8.5세대의 LCD를 생산해 교차 공급하는 전략적 선택을 한 것으로 전해졌다.


삼성전자 측은 중국 측에 기술이전을 하지 않겠다고 우리 정부에 약속했고, 40%의 현금 출자에도 불구하고 중국 측이 경영과 관리에 관여할 수 없도록 규정됐다고 덧붙였다.


한편 장 사장은 간담회에서 "모든 환경에서 풀(full) HD 화질구현이 가능한 액티브(active) 3D 기술과 중국 현지화 생산을 통해 기존 거래선 및 잠재적 고객의 사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다양한 노력을 해가겠다"고 강조했다.


그는 "LCD 패널 시장에서 3D, 240Hz, LED가 키워드"라면서 "이들 제품을 중심으로 중국 시장의 발전과 고객 지원을 위한 현지화를 적극 추진하겠다"고 덧붙였다. 이어 "지난해 3D TV 시장을 석권한 액티브 3D TV가 올해에도 중국 3D TV 시장을 주도할 것"이라며 "지난 춘제 기간에 판매된 3D TV 가운데 액티브 3D TV가 90% 대였다"고 말했다.


삼성전자는 이날 오후 TPV, TCL, 창홍, 하이센스, 콩카, 하이얼 등의 중국 TV 업체는 물론 소니, 도시바, 파나소닉, 샤프 등의 일본업체, 그리고 LCD 패널 및 부품 협력업체, 궈메이, 쑤닝 등 유통업체들을 참여시킨 가운데 액티브 3D TV 시장확대와 협력 방안을 모토로 '풀 HD 3D 파트너스 데이' 행사를 가졌다.




박성호 기자 vicman1203@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