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해군초계함침몰] "침몰지점 알기는 하나"..풀리지 않는 의문들

구조활동 실패에 실종자 가족들 의문 제기..침몰원인 등도 여전한 의혹

[아시아경제 김정수 기자]서해안에서 해군 초계함 천안함이 침몰된 지 벌써 사흘째다.


가족들은 실종된 천안함 승조원들이 살아돌아오기만을 손모아 기도하고 있다.

하지만 수차례에 걸친 수색작업에도 침몰원인 등이 여전히 밝혀지지 않고 있다.


◇침몰 지점은 어디 = 국방부는 천안함 침몰과 관련해 28일 4차례 탐색구조 활동을 시도했으나 별다른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고 밝혔다.

합동참모본부 박성우 공보실장은 이날 “해군 해난구조대(SSU)가 함미가 침몰한 것으로 추정되는 지역에 오전 8시27분과 12시19분 두 차례, 함수 침몰 추정지 역시 12시52분과 오후 1시35분에 두 차례 탐색활동을 펼쳤으나 별다른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실종자 가족들은 군당국이 천안함의 정확한 침몰지점을 알지 못하고 있는 것 아니냐며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당초 해군은 천안함은 백령도 서남쪽 1마일 부근 해상에서 침몰했다고 밝혔다.


하지만 실종자 가족들은 이지역은 수심이 얕아 수색작업이 수월할 텐데 이제껏 아무 성과가 없다는 것은 침몰지점이 잘못된 것 아니냐고 주장하고 있다.


실종자 가족들은 “수심이 얕은 수역인데 왜 성과를 못내는지 답답하다”며 “얕은 수역에는 원래 접근이 안된다는 해군의 설명은 납득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이날 해군2함대사령부 관계자는 “사고해역의 수심이 얕아 천안함과 똑같은 성남함이 접근할 수 없는 곳”이라며 “침몰지점서 3.5km떨어진 곳에서 사고지점을 둘러봤다”고 말했다.


이에 해양 관련업계에 종사하고 있다고 밝힌 한 실종자 가족은 “해군이 밝힌 침몰지점은 해도상 수심이 6-7m로 초계함 접근이 불가능한 곳인데 어떻게 천안함이 이보다 더 낮은 곳에서 침몰했다는 것은 상식적으로 이해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이와 관련 28일 오전 실종자 가족들과 함께 천안함 침몰 인근해역을 찾은 해군본부 엄모 정책실장(준장)이 “침몰지점을 모르겠다. 천안함 함미가 사고현장에서 하루만에 4마일이나 이동하는 것 어렵다고 본다”며 해군이 밝힌 침몰지점에 대해 같은 의문을 제기하기도 했다.


◇천안함 잦은 수리 = 천안함의 잦은 수리도 문제다. 실종자의 한 부인은 “남편이 천안함 작전때마다 배에서 물이 샌다는 말을 했다”며 “천안함 노후화가 사고원인 아니냐”고 의문을 제기했다.


실종 정범구 상병의 아버지는 또 “아들에게 천안함이 지난해말 진해에서 수리를 하기로 돼 있었는데 왜 평택기지에서 수리했다는 애기를 들었다. 진해보다 평택이 수리장비와 기술이 좋으냐”고 따졌다.


또 한 가족은 “사고 전에도 3차례 바닥에 물이 스며들어 수리를 했다고 들었다”고 말했다.


가족들 뿐 아니라 천안함 전역자들도 이같은 문제를 지적하고 있다.


1996년부터 1998년까지 천안함에 승조해 군 복무생활을 한 박모(35)씨는 “연평1 해전에 참전한 천안함 후미가 피격으로 크게 파손됐다는 얘기를 들었다”고, 한 전역자는 “수리가 잦은 배로 항상 사고위험에 불안했다”는 글을 해군 카페에 남기기도 했다.


그러나 이같은 지적에 대해 천안함 함장은 지난 27일 “천안함은 출항 전 선체나 장비 어느 것에도 이상이 없었다”고 해명했다.



[아시아경제 증권방송] - 3개월 연속 100% 수익 초과 달성!


김정수 기자 kjs@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