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첫돌 맞는 실시간 IPTV '부활 날개짓'

사업자간 셋톱박스 공유 가능...교통 CCTV 화면도 시청할 수 있어

[아시아경제 이정일 기자]
앞으로는 IPTV(인터넷TV) 서비스 가입자가 다른 통신사로 옮겨갈 경우 기존 IPTV 셋톱박스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일반 가정에서도 교통 CCTV 화면을 시청하고 원격 진료도 가능해지는 등 IPTV 서비스가 전방위적으로 대폭 확대될 전망이다.


9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방송통신위원회와 한국디지털미디어산업협회(코디마)는 KTSK브로드밴드LG데이콤 3사가 제각각 운영해오는 IPTV 기술을 표준화하기 위한 작업에 본격 돌입할 방침이다. 방통위와 코디마, IPTV 3사 등으로 이뤄진 기술표준화협의회는 내년 상반기까지 표준기술을 마련해 하반기부터 실전에 적용할 계획이다.

코디마 신욱순 국장은 "그동안 셋톱박스와 미들웨어 등 IPTV 관련기술 표준이 없어 사업자마다 기술 호환이 이뤄지지 못했다"면서 "기술 표준이 정해지면 사업자와 소비자 모두 불필요한 비용 낭비를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예컨대, A사에서 서비스를 받던 가입자가 B사로 이동할 경우, 지금은 셋톱박스까지 바꿔야 하지만 기술표준이 도입되면 기존 셋톱박스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는 뜻이다. 아울러 미들웨어 기술표준이 도입되면 사업자별로 특별한 변환과정 없이도 IPTV 콘텐츠 공유가 가능해 비용 절감 효과가 기대되고 있다.

방통위 관계자는 "늦어도 내년 10월에는 기술 표준이 실전에 도입되도록 하겠다"면서 "기술 표준은 사업자와 소비자의 비용 절감은 물론 IPTV의 해외진출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방통위는 오는 10일 'IPTV 상용서비스 1주년 기념식'을 갖고 기술표준 협약을 공식 발표할 예정이다. 이 자리에서는 교통 CCTV화면의 IPTV 전송과 IPTV 원격 진료 등 새로운 서비스도 소개될 예정이다.


방통위 관계자는 "교통 CCTV를 IPTV로 시청하게 되면 일반인들도 가정에서 교통상황을 쉽게 파악할 수 있어 도로 상황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게 될 것"이라며 "이를 위해 한국도로공사측과 협의 중"이라고 귀띔했다.


방통위는 또한 몸이 불편한 노인이나 장애인들이 집 안에서 원격진료와 처방을 받을 수 있는 서비스도 추진하고 있다. 방통위측은 "현재 원격진료를 시범서비스하고 있는데 반응이 매우 좋다"면서 "국회에서 의료법이 개정되면 취약계층을 중심으로 원격진료와 처방 서비스를 본격적으로 시작할 것"이라고 말했다.


실시간 IPTV는 '방통 융합의 꽃'으로 통하고 있지만 기술 난립과 취약한 콘텐츠 등으로 인해 기대만큼 성장하지 못하고 있다. 당초 사업자들은 지상파 방송이 제공되는 실시간 IPTV의 가입자 수가 연내 200만명을 돌파할 것으로 전망했지만, 지난달까지 누적 가입자는 143만명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업계 관계자는 "기술 표준에 따른 비용 절감과 콘텐츠 확대가 이뤄지면 IPTV 가입자는 빠르게 늘어날 것"이라며 "기술표준이 정립되는 내년은 IPTV가 비상하는 해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정일 기자 jaylee@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