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SK에너지-포스코, 청정석탄에너지 공동개발

SK에너지포스코가 석탄을 석유와 유화제품, 합성천연가스(SNG)로 전환하는 일관공정을 공동개발한다. SK에너지는 전(前)처리공정인 석탄가스화기를 개발하고 포스코는 후(後)처리인 SNG공정을 개발해 전후공정을 연결한다. 정부는 이를 R&D과제로 선정해 두 업체에 250억원을 지원키로 했으며 SK에너지와 포스코는 1조5500억원을 투입해 2013년부터 SNG를 본격 생산한다는 계획이다.


이윤호 지식경제부장관, 정준양 포스코 회장, 구자영 SK에너지 사장 등은 24일 코엑스 인터컨티넨탈호텔에서 '청정석탄에너지산업 발전을 위한 추진주체간 지속적 협력에 관한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지경부는 올 추경예산 편성을 통해 7월 7일 '신성장동력 스마트 프로젝트'인 청정석탄에너지사업자로 SK에너지와 포스코 2곳을 선정하고 정부자금 250억을 지원한다.

청정석탄에너지기술개발에는 SK에너지, 포스코,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고등기술연구원을 비롯해 포스코건설, 한국화학연구원, 대우엔지니어링, 서울대학교, 아주대학교 등 19개 참여기관이 공동기술개발에 나선다. SK에너지와 포스코가 전후처리공정을 개발하고 연결하면 비용절감은 물론 개발 시기가 3년 정도 단축될 전망이다.


SK에너지는 기업의 독자모델과 연구소의 파일럿(Pilot)플랜트와 연계해 핵심기술을 조기 확보하고, 포스코 등과 협력하여 실증 및 상용화기간을 단축한다는 방안이다. R&D부터 상용화까지 외국이 10년이 걸린다면 이번 프로젝트는 3년~4년 이내로 절반 이상 단축된다.

SK에너지는 올해부터 2013년까지 5500억원을 투자해 대덕 SK기술원에 연구설비를 구축하고 메탄올 등 화학제품 생산공장을 울산공단에 준공해 매년 20만t을 생산하기로 했다. 또한 석탄액화(석유) 공장은 2014년부터 2018년까지 1조8000억원을 투자해 해외 현지 저급탄 광산부근에 준공하며, 매년 630만배럴을 생산할 계획이다. 이는 2008년도 국내 수용연료의 2.5%를 대체하는 규모이다


포스코는 실증 플랜트+기술개발을 동시에 추진해 최신 공정플랜트 기술개발 성공률을 제고함으로서 상용화시기를 단축하게 된다. 포스코는 2013년까지 1조원을 투자해 기술개발을 완료한 후 상용 플랜트 공장을 전남 광양에 준공해 매년 50만t의 합성천연가스(SNG)를 생산할 계획이다.


정부는 에너지다소비사업장의 대표적 기업이 청정 석탄 에너지를 개발하고 세계시장 공략에 나서는 것에 기대가 크다. 이날 이윤호 지식경제부 장관은 "청정석탄에너지는 친환경화와 상용화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아야하는 특성이 있기 때문에 이산화탄소를 적게 배출하는 기술혁신을 이루지 아니한다면 어느 나라에게도 환영받지 못할 것"이라며 "기업간 협력을 통해 반드시 기술혁신을 추진해달라"고 당부했다.


지경부는 양사가 해외 저급탄 확보·해외 플랜트 수출·선진기술 습득을 추진함에 있어 자원외교·무역·국제협력을 지원키로 했다. 또 청정석탄에너지산업을 저탄소 녹색성장산업으로 육성ㆍ발전시켜 나갈 계획이다

이경호 기자 gungho@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