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PC방 좌석에 본체 사라진다

PC방의 좌석을 차지하던 본체가 사라진다. 각 좌석에 놓인 본체가 하나의 인터넷데이터센터(IDC)로 통합돼 별도 공간으로 사라지기 때문이다. PC방 이용자는 쾌적하고 편리한 공간을, PC방 사업주는 전기요금 절감과 관리효율성이 높아지게 된다.


지식경제부는 15일, 에너지 다소비부문인 인터넷데이터센터(IDC)의 그린화 추진방안을 수립해 16일 발표한다.

지경부에 따르면 현재 국내 IDC는 약 70개로로서 IT인프라의 양적 확장에 따라 전력사용량은 최근 3년간 연평균 45% 증가해 지난해 11억2000만Kwh의 전력이 소비됐다. 인구 111만명 울산광역시의 가정용전력소비량(12억6000만Kwh)에 버금간다. 24시간 가동되는 IDC 1개는 연간 6만MWh의 전력을 사용하고 있다.


정부는 IDC의 전력사용량을 2013년까지 30% 절감하기 위해 IDC의 그린화에 2013년까지 5년간 총 417억원을 지원키로 했다. 이를 위해 고효율저장장치, 고효율 직류변환장치, 냉난방관리시스템 등 그린웨어 등 원천기술 개발을 추진할 계획이다. 또한 그린 IDC 통합 솔루션 및 IDC 규모와 서비스 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되도록 레고형 패키지 솔루션도 개발키로 했다. 이 같은 장비와 시스템에 대해서는 그린IDC인증제를 도입하과 공공기관, PC방을 통해 확산키로 했다.


정부는 시범사업으로 하반기부터 PC방 밀집도가 높은 지역을 중심으로 작은 IDC 규모로 전력소비량이 많은 PC방을 그린화하기로 했다. 기존/신규 PC방에 그린 PC방 솔루션을 개발ㆍ도입해 수 십대의 본체를 하나의 IDC로 처리토록 할 계획이다.


이 경우 전기요금은 기존에 비해 30%이상 절감되고 관리효율성과 발열 소음 등의 환경개선도 기대된다. 실제로 50대 사용 PC방의 경우, 기존 PC방 대비 연 54.7MW 전력소모 감소(30%) 및 연 547만원 비용 절감(30%), 연 23t 이산화탄소 발생량 감소를 기대할 수 있다. 내년 상반기에는 그린 PC방 인증제도를 도입해 그린 PC방의 확산을 유도할 계획이다.

이경호 기자 gungho@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