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희종기자
"초기 연구 개발과 저탄소 설비 전환을 위한 정부의 보조금 지원도 반드시 필요합니다."
지난 9월 국회 기후위기 탈탄소 경제포럼이 주최하고 기후솔루션이 주관한 ‘철강 탈탄소 방안 토론회’에 발제자로 참여한 배진찬 포스코 하이렉스 추진반장(상무)은 수소환원제철의 국내 상용화를 위해 정부의 보조금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포스코의 경우 하이렉스 기술 개발 및 설비 전환을 위한 비용으로 2050년까지 약 20조원이 필요할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전기로 등 저탄소 철강 생산을 위한 설비 및 인프라 구축까지 합하면 2050년까지 탄소 중립에 40조원의 전환 비용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현재까지 이를 위해 확정된 정부 예산은 269억원에 불과하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수소환원제철 실증 사업에 대한 예비타당성 조사를 추진하고 있다. 예산 규모는 9000억원이다.
수소환원제철에 대한 한국 정부의 지원금은 해외 주요국에 비하면 턱없이 부족하다. 기후솔루션이 조사한 바에 따르면 일본은 2021년 3월 2조엔(약 18조원) 규모의 그린이노베이션(GI) 펀드를 신설해 철강, 수소, 배터리 등 14개 분야에 대해 대대적으로 지원하기 시작했다. 이 중 ‘제철소 내 수소 활용 기술 연구 개발 프로젝트’에는 총 4499억엔(약 4조491억원)이 투자된다. 2023년 7월 공개한 그린 전환(GX) 추진전략에서는 소수환원제철 기술 연구개발에 2564억엔(약 2조3706억원)을 투입하겠다고 발표했다.
미국은 올해 3월 산업부문 탄소 배출량 감축을 위해 총 60억달러(약 8조400억원)의 연방 기금을 지원하겠다고 발표했다. 이를 위해 총 33개 프로젝트를 선정했는데 이 중 수소를 활용해 저탄소 철강을 생산하는 2개 프로젝트에 최대 10억달러(약 1조3400억원)의 투자가 확정됐다.
독일은 2026년부터 순차적으로 기존 석탄 기반 고로 6기를 저탄소 철강 생산 설비로 대체한다는 계획이며 이를 위해 최대 10조2000억원 이상의 정부 지원금을 투자할 예정이다.
이에 비해 지난해 한국 정부가 반영한 저탄소 철강 기술 개발 예산 규모는 2685억원에 불과했다. 독일은 철강 생산량이 한국의 52%임에도 불구하고 약 38배의 정부 예산을 편성한 것이다.
글로벌 효율성 인텔리전스(Global Efficiency Intelligence), 트랜지션 아시아(Transition Asia), 기후솔루션이 올해 7월 발간한 ‘녹색 철강 경제학’ 보고서는 "녹색 철강으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그린 수소환원제철 기술의 재무적 리스크를 완화하는 것이 핵심"이라며 "이를 위해 공공 및 민간 자금을 모두 활용해 수소환원제철 사업 자금을 조달하는게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