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창환기자
박재현기자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연 3.50%로 11차례 연속 동결했다. 우리 경제 상황이 예상보다 좋은 데다 물가 역시 아직 높은 수준이라 아직 기준금리를 인하할 때가 되지는 않았다고 판단했다. 한은은 이날 올해 우리나라의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2.1%에서 2.5%로 크게 올렸다.
한은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는 23일 오전 서울 중구 한은 본관에서 열린 통화정책방향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연 3.50%로 동결했다. 금통위는 지난해 2월부터 이날까지 11차례 연속으로 기준금리를 동결했다.
올해 우리나라의 경제성장률 전망치는 종전 2.1%에서 2.5%로 큰 폭으로 올렸고, 물가상승률 전망치는 종전 2.6%를 유지했다. 수출 개선세가 지속되고 내수도 회복세를 보이면서 성장률 전망치를 크게 상향 조정했다.
금통위가 기준금리를 동결한 것은 물가 상황이 아직 불안하다는 판단 때문이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 2월 전년 대비 3.1%, 3월 3.1%, 4월 2.9%로 여전히 한은의 물가 목표치인 2%를 크게 웃돈다. 국제유가는 물론 사과와 배 등 주요 농산물 가격이 크게 오르면서 고물가가 이어지고 있다.
김웅 한은 부총재보는 이달 초 물가상황점검회의에서 "향후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근원물가를 중심으로 둔화 추세를 나타낼 것으로 예상된다"면서도 "지정학적 리스크 전개 양상에 따른 유가 추이, 농산물가격 강세 지속 기간 등과 관련한 불확실성이 큰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강성진 고려대 경제학과 교수는 "기준금리 결정에서 물가가 가장 중요한데 여전히 물가가 안정되지 않은 상황"이라며 "우리가 금리를 내려서 한국과 미국의 금리차가 더 벌어지면 환율이 올라 물가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말했다.
올해 우리 경제성장률이 예상치를 웃돌고 있는 것도 기준금리 인하 명분을 약하게 만들었다. 올해 1분기 우리 경제성장률은 전기 대비 1.3%로 0.6% 내외였던 시장 예상치를 크게 웃돌았다. 수출 호조가 지속되는 가운데 건설기성과 민간소비 등이 개선되면서 깜짝 성장을 이끌었다. 이에 따라 한은도 2.1%였던 올해 우리나라의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이날 2.5%로 크게 올렸다.
앞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와 한국개발연구원(KDI)도 종전 2.2%였던 올해 우리나라의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2.6%로 상향 조정했고, 무디스는 2.0%에서 2.5%로, 한금융연구원은 2.1%에서 2.5%로 높였다. 골드만삭스와 JP모건, HSBS, 노무라 등 주요 글로벌 투자은행(IB)들도 한국의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2.5% 안팎으로 상향했다. 올해 우리 경기가 기존 예측보다 좋을 것으로 전망되면서 한은이 서둘러 금리를 낮출 이유가 없다는 분석이다.
안재균 신한투자증권 이코노미스트는 "1분기 우리 경제성장률이 예상보다 높게 나오면서 한은이 빠르게 기준금리를 인하할 필요성이 연초와 비교해 줄어든 상황"이라고 분석했다.
미국의 기준금리 인하 예상 시점이 뒤로 밀리고 있는 것도 한은의 기준금리 인하를 늦추는 요인이다. 지난달까지만 해도 시장에서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올해 2분기에는 기준금리를 인하할 것으로 예상했다. 하지만 고물가가 지속되면서 현재는 3분기로 인하 예상 시점이 밀렸다.
미국의 지난 3월 개인소비지출(PCE)은 전년 동월 대비 2.7% 상승해 시장 전망치인 2.6%를 웃돌았다. 물가 둔화가 더디게 나타나면서 Fed도 금리 인하에 신중한 모습이다.
전일 공개된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의사록도 다소 매파적이었다. 의사록에서 위원들은 1분기 물가상승률 지표에 실망스럽다는 반응을 보이며 "인플레이션이 2% 목표치를 향해 움직일 것이라는 확신을 얻기까지 예상보다 더 오랜 시간이 걸릴 것"이라고 전망했다. 크리스토퍼 월러 Fed 이사도 지난 21일 현지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물가) 지표 둔화세가 3~5개월 정도 지속돼야 연말께 금리 인하가 가능하다고 생각할 수 있다"고 밝혔다.
미국의 통화정책 방향이 불확실한 상황에서 한국이 먼저 기준금리를 내리기에는 부담스러울 것이라는 전문가들의 의견이 많았다. 시장에서는 미국이 3분기에 기준금리를 먼저 내리고 한국은 4분기께 금리를 내릴 것이라는 예상이 우세하다.
주원 현대경제연구원 경제연구실장은 "우리 통화정책은 미국의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에 한은이 미국보다 앞서서 기준금리를 내릴 가능성이 크지 않다"며 "미국이 빠르면 오는 9월께 기준금리를 내리면 한은도 10월쯤 금리를 내릴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박춘성 한국금융연구원 거시경제연구실장도 "현재 우리 통화정책의 최대 변수는 미국의 기준금리 인하"라며 "3분기에 미국이 먼저 기준금리를 내리고 한국은 이를 확인한 뒤에 기준금리를 내릴 것으로 본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