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은모기자
국내 식품기업들이 글로벌 경기침체와 고물가 등 녹록지 않은 환경 속에서도 올해 1분기 크게 호전된 실적을 거뒀다. 국내에서는 높아진 외식물가에 '집밥'을 찾는 소비자가 늘며 식품 소비가 늘었고 해외에서는 'K-푸드'가 인기를 끌면서 제품 수출이 증가한 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
16일 식품 업계에 따르면 CJ제일제당은 자회사 CJ대한통운을 포함한 연결 기준 올해 1분기 영업이익이 3759억원으로 지난해 동기보다 48.7% 증가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14일 공시했다. 같은 기간 매출은 7조2160억원으로 2% 상승했고, 순이익은 1546억원으로 213.5% 늘었다. 영업이익은 증가세로 전환한 지난해 4분기(2983억원·전년 동기 대비 24% 증가)에 이어 뚜렷한 회복세를 나타냈다.
CJ제일제당은 글로벌 사업이 호조를 보였고 국내 사업에서는 비용 절감 노력을 기울여 이 같은 호실적을 냈다고 전했다. 국내 식품 사업에서는 내식 트렌드가 확산하고 온라인 플랫폼과 협업해 새로운 판로를 확대하며 비비고 만두와 햇반, 고메 소바바 치킨 등 주요 제품 판매량이 10%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해외 식품 사업의 경우 핵심 권역인 북미뿐 아니라 신시장인 유럽, 호주에서 성장을 이어갔다.
대상의 연결 기준 올해 1분기 영업이익은 477억원으로 91.5% 증가했다. 매출은 1조445억원으로 5.5% 늘었다. 신선식품과 편의식품, 조미료류 등 주요 품목 매출이 증가했으며 선물 세트 사업의 수익성이 높아졌다. 글로벌 식품 매출도 20%가량 늘었다. CJ제일제당과 대상 모두 바이오 사업 부문 수익성이 개선된 것이 호실적에 영향을 줬다.
롯데웰푸드는 연결 기준 1분기 영업이익이 373억원으로 100.6% 증가했다. 매출은 9511억원으로 0.9% 줄었지만 순이익은 201억원으로 대폭 늘었다. 롯데웰푸드는 앞서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 여파로 크게 올랐던 국제 유지 가격이 안정세에 접어들어 수익성이 개선됐다고 설명했다. 또 글로벌사업에서는 인도·카자흐스탄 사업이 성과를 내 매출과 영업이익은 각각 지난해 동기보다 3.3%, 60.9% 증가했다고 밝혔다.
동원F&B는 연결 기준 올해 1분기 영업이익이 499억원으로 14.8% 증가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밝혔다. 매출은 1조1190억원으로 3.5% 늘었고, 순이익은 456억원으로 52.4% 증가했다. 동원F&B는 설 명절 선물 세트 매출이 늘었고 가정간편식(HMR) 판매가 증가해 호실적을 냈다고 설명했다.
'라면 3사'의 희비는 다소 엇갈렸다. 삼양식품과 오뚜기는 실적이 개선됐다. 특히 삼양식품의 영업이익 증가 폭은 주요 식품기업 중 가장 컸다. 삼양식품은 올해 1분기에 연결 기준으로 역대 분기 최대 수준인 3857억원의 매출과 801억원의 영업이익을 거뒀다.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매출은 57%, 영업이익은 235% 각각 증가했다. 간판 브랜드 '불닭'의 수출 호조에 힘입어 해외 매출이 83% 증가한 2889억원으로 전체의 75%를 차지한 것이 주효했다. 오뚜기도 1분기 영업이익이 732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2.0% 증가하며 웃었다. 매출도 8836억원으로 3.1% 증가했다. 간편식 등이 꾸준한 성장을 보였고, 해외에서의 매출도 15% 정도 늘었다는 게 회사 측 설명이다.
반면 농심은 원료비 상승 등으로 수익성 하락을 면치 못하며 웃지 못했다. 농심은 1분기 매출액이 8725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4% 증가하며 외형 성장에는 성공했지만 영업이익이 614억원으로 3.7% 줄어들었다. 농심 측은 “내수 및 수출 성장에 힘입어 매출이 성장했으나 비용 부담이 증가하며 영업이익이 감소했다”고 전했다.
제과업체 중 오리온의 영업이익이 1251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6.2% 증가했고, 매출액도 7484억원으로 12.7% 성장하며 1분기 기준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원자재 가격이 상승세에도 원료 공급처 다변화, 글로벌 통합구매 등 효율 및 수익 중시 경영을 펼친 것이 주효했다. 특히 중국 법인은 최대 명절인 ‘춘제’ 효과로 매출이 성장한 가운데 수익성 개선을 위해 간접영업체제로 전환하면서 영업이익이 많이 증가했다.
이 밖에 풀무원과 빙그레 역시 해외사업이 선전하며 웃었다. 풀무원은 올해 1분기 연결 기준 영업이익이 156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7.7% 증가했고, 매출은 7693억원으로 5.4% 늘었다. 미국과 일본, 중국, 베트남을 포함하는 해외식품제조유통사업 부문의 주력인 미국 법인이 역대 최고 두부 매출을 기록하고, 아시안 누들류 제품이 지속 성장했다. 빙그레는 영업이익이 211억원으로 지난해 동기보다 65.2% 증가했고, 매출은 3009억원으로 2.5% 늘었다. 빙그레 관계자는 "주요 제품의 매출 증가와 해외 매출 성장으로 전년 대비 매출이 증가했다"며 "해외 매출 성장에 따른 수익성 개선과 수익성이 좋은 제품 구성 확대 등으로 인해 영업이익이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총선이 끝나고 2분기에 들어서면서 식품 업계에서는 가격 인상 움직임이 본격화하고 있다. 롯데웰푸드는 다음 달 가나초콜릿과 빼빼로 등 주요 제품 가격을 평균 12% 올릴 계획이다. 초콜릿의 주원료인 코코아 시세가 역대 최고 수준으로 올라 가격 인상이 불가피하다는 입장이다. 김 원초 가격의 급격한 상승을 이유로 조미김 제조사들도 가격을 올리고 있다. 앞서 시장 점유율 상위권인 광천김, 성경식품, 대천김 등 전문 업체가 지난달 제품 가격을 10∼20% 올린 데 이어 CJ제일제당도 지난 2일부로 마트와 온라인에서 판매하는 김 가격을 11.1% 인상했다.
하지만 식품 업체들이 1분기 호실적을 거두면서 일각에서는 식품기업들이 호실적을 내면서 제품 가격 인상을 자제해야 하는 게 아니냐는 지적도 나온다. 코코아, 올리브유 등 재료비가 올랐지만 영업이익 증가로 당분간 가격을 동결할 여력이 있지 않으냐는 시각에서다. 물가 안정을 위한 정부의 가격 정책도 식품 업계 입장에선 부담이다. 지난 3일 농림축산식품부는 주요 식품기업과 외식 업계 대표들을 불러 물가 안정에 대한 협조를 구했는데, 업계는 이를 가격 상승에 대한 정부의 경고성 행보로 평가하는 분위기다. 실제로 공정거래위원회는 지난 3월 설탕 업체에 이어 지난 9일에는 롯데칠성·코카콜라 등 음료 업체에 대한 가격 담합 현장 조사를 벌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