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제일기자
집에서 키우던 반려묘가 이유를 알 수 없는 무기력증과 신경·근육병증을 앓다 폐사한 사례가 전국적으로 88건 확인됐다. 피해 고양이들은 특정 사료를 섭취했다는 공통점이 있었다. 부실한 사료 검증 및 관리 체계가 반려인들의 불안감을 키우고 있다. 지난 20일 기준 동물보호단체 라이프가 접수한 반려묘 피해 사례는 총 236마리로, 이 중 88마리가 죽었다.
이 고양이들은 모두 특정 제조원에서 올해 1~4월 만든 사료를 먹은 것으로 조사됐다. 문제의 제조원이 주문자상표부착생산(OEM) 방식으로 생산한 사료는 약 20종으로 알려져 있다. 심인섭 라이프 대표는 "고양이의 연령·품종과 무관한 피해가 나타났으며, 공통점은 사료 이외에는 없다"며, "이번 주 내로 폐사 개체 수가 100마리를 넘을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이번 사태의 정확한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앞서 지난 19일 농림축산식품부는 검사 의뢰를 받은 사료 30여건 가운데 3건을 검사했는데 아직 별다른 문제가 발견되지는 않았다고 밝혔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사료에서 중금속·곰팡이독소·잔류농약·동물용의약품·멜라민 등 5개 항목 78개 유해물질과 바이러스 7종, 기생충 2종 검출 여부를 분석하고 있다.
논란이 이어지자 문제의 사료 판매를 중단한 업체도 있으나 여전히 시중에 판매 중인 곳도 있다. 심 대표는 "피해가 확산하는 상황에서는 정부가 '선 회수' 조치해야 한다"고 말했다. 반려인들은 관련 규제가 느슨하다며 분통을 터뜨리고 있다.
농식품부가 지난해 '수입사료 사후관리기준'과 '사료 검사기준'을 개정했는데 통관검사에서 부적합 판정을 받은 동물성 원료와 이를 가공한 식품을 사료로 재활용할 수 있도록 했다는 것이다. 반려동물 사료 불안전성 논란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지난해에는 고양이 사료에서 조류인플루엔자(AI) 바이러스가 검출됐다. 제조업체가 멸균·살균을 제대로 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고양이를 키우고 있는 이들이 모인 인터넷 카페에서는 "2015년에 나타난 문제가 재발했다"며 우려하는 분위기다. 한 누리꾼은 "당시 제조사들이 정부 조사 결과를 근거로, 사료 문제를 제기한 이들을 고소하며 사람들이 사료 명을 말하지 못하게 됐는데 결과적으로 더 심각한 문제가 발생했다"고 말했다.
일각에선 반려동물용 사료 관리를 위한 별도의 법제를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대한수의학회 관계자는 "사료관리법의 유해 물질 기준 등은 대부분소, 닭 등 축산동물 기준"이라며 "종마다 다른 특성을 반영한 사료 관리 기준이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