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 만 5세 조기입학 “교육으로 포장한 아동학대”

호남취재본부 이준경 기자

요즘 만 5세 조기입학 문제를 두고 전국이 시끄럽다.

교육부는 지난달 29일 만 5세 유아를 1년 앞당겨 초등학교에 조기입학 시키는 학제개편 방안을 발표했다.

당시 박순애 교육부 장관은 “영유아와 초등학교 시기가 성인과 비교해 교육에 투자했을 때 효과가 16배 더 나온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며 “취학연령 하향은 사회적 약자도 빨리 공교육에 들어와서 공부할 수 있도록 국가가 책임지겠다는 의지의 표명”이라고 밝혔다.

이 발언에 대해 학부모들과 교육계, 사회단체, 유치원, 어린이집 관계자 등 각 분야에서 거센 비난이 쏟아졌다.

특히 학부모 대다수는 “아동 발달단계도 모르는 교육부가 학부모를 철저하게 무시한 발언”이라며 “학제개편한다는 포장으로 우리 아이들을 희생시키지 말라”고 강력히 반발했다.

이는 과도한 교육열로 아이들 발달단계를 무시한 엘리트 교육이 강요되면서 아이들은 받는 스트레스를 대변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실제 초등생을 대상으로 학교 만족도를 물어보면 “유치원 시절로 돌아가고 싶다”고 답변이 제일 많이 나온다.

교육심리학자인 프로이드와 에릭슨에 의하면 만 5세는 남근기 또는 주도성과 죄책감 나타나는 단계로 아이는 끊임없이 질문하며 새로운 단어와 개념 등을 습득하는 시기다.

만 5세가 되면 호기심이 왕성해 사물이나 장난감 등을 뜯어보거나 통제되지 않는 행동을 보이기도 하는데 아이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어른은 이를 문제 삼아 체벌 또는 강한 훈계를 하는 경우가 많다. 이럴 때 아이는 죄책감을 느끼고 주도성 형성에 어려움을 겪게 된다. 또 교사가 아이에게 사회적 비난과 처벌을 줄 때 정서발달에 큰 지장이 생길 수 있다.

그래서 프로이드는 성격 형성에 가장 중요한 시기를 4~5세로 해석했다. 이 시기에 아이가 능력 이상의 학습 능력을 요구받으면 학교에 즐거움을 느끼지 못하고 평생 열등감과 자괴감에 빠져 헤어 나오지 못할 수도 있다.

유치원과 초등학교는 근본적으로 다르다. 먼저 유치원은 초등학교와 물리적 환경에서부터 큰 차이가 있다. 유치원 교실은 누리과정 중심으로 영역별 놀이 활동을 위한 교재, 교구 등으로 구성됐지만, 초등학교 교실은 깍두기 같은 작은 책상 위에 앞에서 40분~50분 동안 꼼짝없이 앉아 있어야 한다.

흥미와 관심에 따라 교재·교구를 만지며 ▲신체운동·건강 ▲의사소통 ▲사회관계 ▲예술경험 ▲자연 탐구 등 5개 놀이영역을 유치원에서 배웠던 만 5세에게 깍두기 책상 교육은 잘못하면 아동학대로 다가올 수 있다.

광신대 유아교육과 김희정 교수는 “조기입학 했던 아이가 초등 3학년 이후 학교 적응에 어려움을 겪게 됐다는 논문이 지난 2010년 발표된 사례가 있다”며 “현재 OECD 20개 국가 중 만 5세 조기입학을 시행한 나라는 영국 1개국 밖에 없다. 오히려 덴마크, 스웨덴, 핀란드 등은 만 7세로 상향해 시행 중이다”고 지적했다.

이어 “지난 2019년 유아교육과정을 놀이중심 위주로 개정한 이유도 기존 교육방식으로는 미래인재 양성이 힘들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며 “놀이중심 교육이 필요한 유아들이 교과중심인 초등교육으로 들어가면 정서적 측면에서 문제가 생길 수 있다”고 강조했다.

만 5세의 집중력은 20~30분 이상을 넘기기 힘들다. 유아교육 전공 교사들도 첫 발령 후 눈높이 교육이 힘들어 직장을 포기하는 경우가 많다. 이렇듯 전문가도 힘든 눈높이 교육을 초등교사가 감당을 할 수 있을지 의문이다.

특히 어린이집이나 유치원은 유아 맞춤형 교육 서비스로 돌봄교실도 가정 같은 분위기지만, 학교는 교사 맞춤형으로 돌봄 서비스마저 저소득층 아이들이 이용한다는 학부모들의 인식이 강해 조기입학 학제개편안이 공감을 얻기에는 역부족이다.

교육부가 아이들 교육을 책임지겠다는 의지가 있다면 무리한 학제개편보다는 발달단계에 맞는 교육이 가능한 유아학교를 활성화하는 것이 타당하다. 이를 위해서는 유보통합 문제부터 해결하고, 사립유치원을 매입해 공립으로 전환하는 것이 급선무다.

호남취재본부 이준경 기자 lejkg123@asiae.co.kr<ⓒ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호남팀 호남취재본부 이준경 기자 lejkg123@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