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기업 해외 M&A 안팎으로 '가시밭길'

[아시아경제 베이징=김혜원 특파원] 미국 송금 회사 머니그램 인수를 추진 중인 마윈(馬雲) 알리바바그룹 회장의 행보에 제동이 걸렸다. 미국 외국인투자심의위원회(CFIUS)가 이번 인수합병(M&A)에 부정적인 의견을 내비치면서 깐깐한 심사를 진행하는 가운데 미국 정치권에서도 국가 안보를 이유로 인수 저지 움직임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이를 두고 미국 경제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은 23일(현지시간) "미국 기업에서 손을 떼라는 신호를 보내는 것"이라고 보도했다. 알리바바의 머니그램 인수 건 외에도 CFIUS가 추가로 4건의 중국 기업 M&A 승인을 지연하고 있는데, 이는 미국이 무분별한 '차이나 머니' 유입을 경계하고 있다는 명백한 시그널로 봐야 한다는 것이다. 지난달 한 중국 기업은 미국의 무선 공유기 사업에 눈독 들였다가 세 번의 시도 끝에 CFIUS 문턱을 넘지 못해 계획을 철회했다. 딜로직이 중국 통계를 인용한 바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 기업의 해외 투자액 2210억달러 가운데 미국은 660억달러에 달했다.중국 기업의 해외 M&A는 자국 내에서도 극심한 통제를 받고 있다. 지난해까지만 해도 글로벌 M&A '큰손'으로 군림한 다롄완다그룹과 하이항(海航·HNA)그룹, 안방보험그룹, 푸싱국제 등 4개 민간 기업이 올해 들어 중국 당국의 표적 수사망에 들어 경영 활동에 제약을 받는 것이 대표적인 사례다. WSJ에 따르면 2015년부터 이들 네 개 기업이 해외에서 완료한 M&A 규모는 550억달러로, 중국 기업 전체의 18%에 달한다.엄중한 분위기를 간파한 왕젠린(王健林) 다롄완다그룹 회장은 결국 백기를 들었다. 그는 최근 중국 경제 매체 차이신과의 인터뷰에서 "당국의 요청에 즉각적인 반응을 보일 것"이라며 "자산 매각 후 부채 우려를 씻어 내고 국내에서 다시 대규모 투자를 단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WSJ는 익명의 중국 당국자를 인용해 "자국 기업의 해외 M&A 옥죄기는 사실상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의 승인 아래 이뤄지는 것"이라고 전했다. 단순한 자본 유출 우려에 따른 통제가 아닌 민간 기업의 경영에 당국이 언제라도 개입할 여지가 있음을 경고한 셈이다. 중국 당국자는 WSJ에 "이들(민간 기업)이 과도한 차입에 의존해 무분별한 해외 M&A를 진행하고 있다"면서 "행여 거래가 삐걱거리면 중국 금융권 전체의 부실을 초래할 수 있다"고 우려를 나타냈다.그러나 모든 해외 투자를 막는 것이 아니라 시 주석의 주력 사업인 일대일로(一帶一路·육상 및 해상 실크로드) 프로젝트 관련이나 중국의 경쟁력을 높이는 로봇 등 첨단 산업 투자의 경우에는 여전히 우호적이라고 WSJ는 덧붙였다. 이런 정책 기조 아래 지난해 사상 최고 기록을 세웠던 중국 기업의 해외 M&A는 올해 적게는 반토막, 많게는 4분의 1로 쪼그라들 전망이다.베이징 김혜원 특파원 kimhye@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국제부 베이징 김혜원 특파원 kimhye@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