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미세먼지 3분의 1 중국발…환경부·나사 첫 공동연구

5~6월 측정해 국내 발생요인 더 많아…시기별 결과 다를 수 있어
[아시아경제 조슬기나 기자]한국과 미국 항공우주국(NASA)이 대기질 공동 조사를 실시한 결과, 국내 미세먼지의 약 3분의 1이 중국 영향으로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단 중국의 영향이 상대적으로 적은 5∼6월에 측정한 만큼 이번 조사에서는 국내에서의 미세먼지 발생 요인이 더 많이 나타난 것으로 조사됐다.환경부와 국립환경과학원은 19일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미국 항공우주국(NASA)과 지난해 5∼6월 합동으로 수행한 '한·미 협력 국내 대기질 공동 조사(KORUS-AQ)' 설명회를 열고 이같이 밝혔다.조사 결과에 따르면 서울 올림픽공원에서 측정된 미세먼지 PM2.5의 경우 국내 요인이 52%, 국외 요인은 48% 발생에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미세먼지는 지름에 따라 10㎛(마이크로미터·100만 분의 1m)보다 작은 먼지를 PM10이라 하고, 2.5㎛보다 작은 먼지를 PM2.5로 분류한다. 서울 올림픽공원은 지상과 항공 관측을 직접 비교하기 가장 용이한 곳으로 꼽혀, 이번 조사에서 NASA의 관측용 비행기(DC-8)가 한반도 전역을 20회 비행하는 중 올림픽공원 상공을 52회 관측했다.국외 영향 중에선 중국 내륙이 34%(산둥 22%·북경 7%·상해 5%)를 차지했고, 북한 9%, 기타 6%로 분석됐다. 하지만 조사가 수행된 5∼6월은 통상 중국의 영향이 크지 않을 시기로, 난방 수요가 많은 겨울철에 중국의 영향이 커 결과가 다를 수 있다.이번 조사에서는 시기상 미세먼지 발생 원인으로 국내적인 요인이 많이 나타났다. 국립환경과학원은 미세먼지가 많이 발생하는 겨울이나 봄이 아닌 5∼6월에 조사를 한 데 대해 국내 배출원에 의한 광화학 오염 전구물질(원료물질) 반응이 이 시기에 가장 활발한 만큼 국내 원인에 의한 PM2.5와 오존 발생을 연구하기 적합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조사 결과를 보면 국내 요인의 영향만으로도 세계보건기구(WHO) 일평균 PM2.5 권고 기준인 25㎍/㎥를 넘긴 날들이 확인돼 대책 마련이 시급했다. PM2.5를 생성하는 전구물질을 분석했을 때 국내에서 발생하는 유기물질(OC)·질소산화물(NOx)·암모니아·블랙 카본(BC)이 미세먼지 발생 요인의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아울러 조사 기간 측정된 미세먼지 PM1(직경이 1㎛보다 작은 미세먼지) 가운데 배출원에서 직접 배출된 양은 4분의 1 미만이었으며, 나머지는 가스상 물질에 의해 2차 생성된 것으로 분석됐다. 2차 생성 원인 물질로는 황산염과 질산염 등 유기물질이 가장 많았다.오존 발생 원인의 경우 서울은 질소산화물과 휘발성 유기화합물(VOCs) 배출의 영향을 받으며 특히 VOCs인 톨루엔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됐다.수도권 남부지역의 대기질은 서해안 석탄화력발전소 배출 오염물질에 가장 큰 영향을 받았다. 단 측정 기간 석탄화력발전소와 같은 대형 시설 관측은 2회만 이뤄져 추후 지속적인 관측이 필요한 것으로 지적됐다.한편 이번 한·미 협력 국내 대기질 공동조사는 국내 대기오염 특성을 규명하고자 2013년에 한 양국 합의에 따라 이뤄졌다. 국내·외 80개 기관에서 580여 명의 과학자가 참여한 이번 조사는 지난해 5월2일∼6월12일 한반도 전역에서 항공관측·지상관측·모델링 등의 방법을 통해 진행됐다.이번 설명회에서는 우선 확인된 사실만 공개됐으며 나머지 분석 결과는 2019년까지 순차적으로 공개할 예정이다.조슬기나 기자 seul@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경제부 조슬기나 기자 seul@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