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 극과 극 청약 시장…절반만 1순위 마감

[아시아경제 박혜정 기자]5월 주택 청약시장이 극과 극을 달렸다. 서울을 중심으로 청약 과열 조짐이 나타났지만 일부 수도권과 지방은 청약 미달이 속출하는 등 양극화가 더욱 심해졌다. 지난해 분양 열기가 뜨거웠던 부산과 제주에서도 미분양이 잇따라 나올 정도로 수요자들의 옥석 가리기가 본격화되고 있는 것이다. 4일 금융결제원에 따르면 5월 청약을 진행한 전국 22개 단지(민영주택) 중 절반인 11개 단지만이 1순위 마감에 성공했다. 시기별로 보면 문재인 정부가 출발하자마자 분양된 4개 단지 중에서는 부산 정원센텀뷰 남천만이 1순위 마감에 성공했다. 나머지 부산 범천동 스타파크, 부산 충무 금오아파트 2차, 제주 서귀포 화순 블루팰리스는 미달됐다. 이보다 한 주 앞서 5월 시작과 함께 분양한 부산 동래 보해이브는 1순위, 전주 대양아리스타는 일부 2순위 마감으로 청약을 마쳤다.사실상 포스트 대선 분양시장의 시작인 셋째 주엔 3개 단지가 청약에 나서 대구 범어네거리 서한이다음, 김해율하 시티 프라디움이 순위 내 마감했다. 특히 대구 서한이다음은 평균 경쟁률 271.9대 1, 최고 경쟁률 599.9대 1을 찍었다. 이는 지난 2015년 9월 힐스테이트 황금동(평균 622.1대 1) 이후 가장 높은 수치다. 올해 신규 입주가구와 분양 물량, 입지 여건, 상대적으로 낮은 분양가 등이 작용한 결과다. 10개 단지가 청약에 돌입한 넷째 주엔 6개 단지가 1순위 마감했다. 재건축 단지인 서울 보라매 SK뷰는 평균 경쟁률 27.7대 1로 거뜬히 1순위를 채웠다. 최고 경쟁률은 106대 1로 올해 서울에서 분양한 민간아파트 중 가장 높다.  김포 한강메트로 자이 1·2단지는 평균 경쟁률 7.14대 1을 기록했다. 11·3 부동산 대책의 청약 조정대상 지역에서 제외된 김포의 경우 6개월 이후부터 분양권 전매가 가능해 투자 수요까지 가세한 것으로 풀이된다. 안양 명학역 유보라 더 스마트, 부산 온천천 경동리인타워 2차, 대구 죽전역 인터불로 라비다도 전 타입 1순위에 성공했다. 이에 반해 인천 영종하늘도시 KCC 스위첸은 10개 타입 중 3개 테라스타입만 1순위에 마감을 끝냈다. 인천 논현 푸르지오는 일부 타입에서 1순위 미달된 뒤 2순위에서 청약을 마쳤다.마지막 주엔 3개 단지 중 2개 단지가 1순위 마감에 성공했다. 서울 고덕 롯데캐슬 베네루체는 평균 11.3대 1의 경쟁률로 전 주택형 1순위 당해지역에서 마감됐다. 최고 경쟁률은 65.8대 1이었다. 영등포 휴젠느 아파트는 평균 4.22대 1의 경쟁률로 1순위에서 주인을 찾았다. 반면 경기 의정부 e편한세상 추동공원2차는 평균 0.98 대 1의 저조한 경쟁률로 1순위 마감에 실패했다.권일 부동산인포 리서치팀장은 "지역, 단지의 상품성에 따라 달라지겠지만 수도권 뉴타운·재건축 사업장이나 경기 고덕신도시, 부산, 세종시 정도만 청약 수요가 집중될 것으로 보인다"며 "새 정부의 정책 기조가 규제 측면이 강한 만큼 안정적인 지역과 단지를 골라 청약하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 박혜정 기자 parky@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건설부동산부 박혜정 기자 parky@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