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상무부, 작년 대형변압기 관세 20배 올려수주물량 울산공장서 美 공장으로 이전해 대응키로3월말 美 국제무역법원 행정소송도 제소업계 "제조업 공동화 가속 우려…文정부, 리쇼어링 전략 시급"
▲현대중공업이 미국 앨라배마주 몽고메리시에 준공한 변압기공장 전경
[아시아경제 김혜민 기자] 현대중공업이 국내에서 생산하던 물량을 미국 공장으로 넘기는 방안을 추진한다. 미국발(發) 반덤핑 관세폭탄을 피하기 위해서다. 그동안 트럼프 미 대통령의 보호무역주의에 대응해 미국 내 공장 설립을 추진하는 사례는 있었지만 국내 생산 물량을 미국 공장으로 옮기는 '수주 물량 이전'은 매우 이례적이다. 업계는 해외로 빠져나가는 생산기지에 대한 '리쇼어링 전략'을 문재인 정부가 서둘러 수립하지 않으면 '제조업 공동화'가 가속화될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16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중공업에서 최근 분사한 현대일렉트릭앤에너지시스템은 미국의 반덤핑 관세를 피하기 위해 그동안 국내 울산 공장에서 생산하던 대형 변압기 물량을 미국 현지 공장에서 생산하기로 내부 방침을 정했다. 현대중공업 관계자는 "미국 현지 고객사와 협의 중"이라며 "울산 공장 의존도를 줄이는 대신 현지 공장 가동률을 높이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현대중공업은 2011년 1억 달러를 들여 미국 앨라배마주에 변압기 공장을 세웠다. 최대 고압 변압기를 연간 100여대 생산할 수 있는 규모다. 울산공장 의존도를 줄이고 현지 대응력을 키우려는 취지였지만, 생산품질이 안정화 단계에 도달할 때까지 시간이 걸리는 만큼 울산공장과 병행해 운영해왔다. 하지만 미국이 보호무역주의를 강화하면서 상황이 바뀌었다. 미국 상무부는 3월초 현대중공업이 수출하는 대형 변압기에 61%에 이르는 고율의 반덤핑관세를 부과하는 최종 판정을 내렸다. 지난해 9월 예비판정 당시 3.09%였던 관세율이 최종 결정에서 20배로 늘어난 것이다. 현대중공업은 3월말 미국 국제무역법원(CIT)에 행정소송을 제소하면서 법적 대응에 나섰다. 이와 함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미국 현지공장을 활용하는 방안을 계속 검토해왔다. 현대중공업 관계자는 "공장이 만들어지고 품질이 안정화되려면 통상 5년이 걸린다"며 "지금은 미국 공장에서 생산하는 제품에 대한 고객 신뢰도가 많이 올라온 상황"이라고 말했다. 미국 현지 생산량을 늘리면서 울산 공장 생산량은 자연스럽게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울산공장의 연간 생산량은 고압 변압기 500여대(12만MVA)로 변압기 단일공장으로는 세계 최대 규모다. 울산공장은 미국 공장에서 생산하던 소형 변압기 물량을 넘겨받는 한편 수출지역 다변화를 통해 물량을 확보할 것으로 보인다. 현대중공업과 효성, 일진 등 우리 기업의 미국 변압기 수출액은 연간 2억 달러(약 2300억원)에 이른다. 윤창현 서울시립대 교수(경영학과)는 "각종 세제혜택과 규제 완화 등을 통해 해외에 나가는 기업들을 불러들이는 정책이 필요하다"며 "구체적으로 법인세 인하도 고려해봐야 한다"고 말했다. 김혜민 기자 hmeeng@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산업부 김혜민 기자 hmeeng@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