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무안공항 '버드스트라이크' 6년간 10건…발생률 가장 높아

시계아이콘00분 51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뉴스듣기 글자크기

'버드 스트라이크(조류 충돌)'가 29일 무안국제공항에서 발생한 제주항공 항공기 사고의 주요 원인으로 추정되는 가운데 최근 6년간 무안공항의 조류 충돌 건수는 다른 공항에 비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무안공항 '버드스트라이크' 6년간 10건…발생률 가장 높아 무안국제공항에서 탑승객 181명을 태운 제주항공 여객기가 착륙 중 활주로 외벽에 충돌한 뒤 화재가 발생해 승객 대부분이 사망하는 대참사가 발행한 29일 전남 무안국제공항 활주로에 사고 기체 잔해가 놓여 있다. 강진형 기자
AD

한국공항공사가 이연희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무안공항의 조류 충돌 건수는 2019년부터 올해 8월까지 총 10건이었다. 이 기간 무안공항을 오간 항공기가 1만1004편인 점을 고려하면 발생률은 0.09%로 추산된다.


무안국제공항의 경우 비행기 총 운항 횟수와 비교한 조류 충돌 발생률이 전국 14개 지방공항 가운데 가장 높은 상황이다. 이는 김포(0.018%), 제주(0.013%) 등 타 주요 공항보다 더 높은 수준이다. 다만 절대적인 충돌 건수가 극히 적어 유의미한 통계로 일반화하기는 어려운 측면도 있다.


전체 공항의 조류 충돌 건수는 2019년 108건, 2020년 76건, 2021년 109건, 2022년 131건, 작년 152건으로 꾸준히 늘고 있다. 기후 변화로 철새가 텃새가 되거나 출몰 시기와 출몰 조류종이 변화한 탓으로 풀이된다.


올해 1월에도 청주공항과 인천공항에서 항공기 이착륙 중 조류 충돌이 발생했다. 인천에서는 2월 6일 막 이륙해 17피트(약 5.2m) 떠오른 항공기 엔진과 착륙기어에 새가 날아들면서, 6월24일에는 이륙을 위해 활주로를 달리던 항공기 전면에 새가 부딪히면서 회항하는 일이 벌어졌다.


버드 스트라이크란 이·착륙 혹은 순항 중 새가 동체나 엔진 등에 부딪히는 현상이다. 시속 370㎞로 상승하는 항공기에 900g의 청둥오리 한 마리가 충돌할 때 항공기가 받는 순간 충격은 4.8t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새가 항공기 엔진으로 빨려 들어가는 경우 화재 등 대형 사고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 공항의 입지 특성상 들판이 많고, 특히 우리나라는 강가나 해변에 자리 잡은 곳도 많아 새들과 충돌할 가능성이 더 크다는 평가다.




변선진 기자 sj@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