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까지 첨단 신소재·부품 100대 기술개발

[아시아경제 조슬기나 기자]정부가 2025년까지 첨단 신소재·부품 등 100대 기술개발에 나선다. 가상공학 플랫폼 등 미래형 소재·부품 인프라를 구축하고, 글로벌 파트러링 사업을 통해 해외진출도 지원하기로 했다.산업통상자원부(장관 주형환)는 26일 관계부처 합동으로 이 같은 내용의 ‘제4차 소재·부품발전 기본계획’을 발표했다. 이는 3차 기본계획의 만료에 따른 것으로, 기존 소재·부품산업에 대한 지원이 업종별·개별 부처 중심의 수직적·칸막이형으로 이뤄져 융·복합 트렌드에 대한 대응에 한계가 있다는 인식 하에 마련됐다.융합 얼라이언스 중심의 수평적·개방형 지원방식으로 전환한다는 점에서 기존의 대책들과 근본적인 차이가 있다는 평가다.또한 그간 대책별, 분절적으로 이뤄졌던 지원방식을 ‘연구개발(R&D)→인프라→공정→트렉레코드 확보 및 해외진출’까지 전주기 기업활동에 있어서 4차 산업혁명 대응을 지원할 수 있는 방향으로 전환하는데 중점을 뒀다.소재·부품 산업은 부가가치의 원천으로서 선진국 도약의 기준이 되는 산업이며, 4차 산업혁명 연관된 신산업 육성과 주력산업 고도화의 전제조건이 되고 있다. 미국, 독일 등은 4차 산업혁명을 대비한 제조업 강화정책을 수립하고, 수요산업계와 융·복합 소재·부품 개발 및 민관 거버넌스를 구축하는 등 적극 대응 중이다.정부 역시 4차 산업혁명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주력산업을 고도화할 수 있도록 2025년까지 미래 첨단 신소재·부품 100대 유망기술을 개발하기로 했다. 100대 기술은 4차 산업혁명 대응을 위한 소재·부품 기술 50개 및 주력산업 고도화를 뒷받침할 수 있는 기술 50개로 구성된다.▲5G 이동통신 모뎀, 전자센서용 마이크로 광원부품 등 IoT(21개) 기술 ▲클리우딩컴퓨터용 고분자 소재 등 빅데이터(3개) ▲항공기용 고성능 항법장치, 드론용 충돌회피 시스템 등 AI(3개) ▲고강도·고성형 알루미늄, 고효율 모터부품 등 로봇(18개) ▲임플란트 바이오세라믹 소재 등 3D 프린팅(5개) 등이다.주력산업 고도화와 관련해서는 ▲센서부품, 리튬이온전지 에너지고밀도화 기술 등 산업공통(14개) ▲마그네슘판재 제조기술, 친환경평형수 처리기술 등 자동차·선박(14개) ▲동력용 배터리팩 모듈, 차세대 고형고무제조기술 등 철도·항공(8개) ▲파워반도체 기술, OLED 엔진기술 등 반도체·디스플레이(8개) ▲바이오의약품 기반기술, 뷰티케어 세라믹 소재 등 바이오(6개) 등이다.이와 함께 정부는 융·복합 소재·부품 개발을 효율적으로 지원할 수 있도록 소재·부품 인프라도 개선한다. 현재의 15개 소재·신뢰성 센터를 5대 융합 얼라이언스 체계(금속, 화학, 섬유, 세라믹·전자, 기계·자동차)로 개편함으로써 융·복합 소재·부품 개발을 촉진한다는 방침이다.개편 이후 소재·부품개발 기업은 5대 얼라이언스 중 주요 관련 분야 대표기관 접촉→ 대표기관 중심으로 관련 센터간 연계, 공동컨설팅, 신뢰성 지원 등 종합서비스 제공 등이 가능해진다.첨단 소재·부품 정보를 수집·재생산할 수 있는 빅데이터 플랫폼(미래부), 상용화 기간·비용을 단축할 수 있는 가상공학 플랫폼(산업부)을 구축하는 등 미래형(virtual) 인프라 도입도 확대한다.아울러 첨단 신소재·부품 산업인력 양성을 위해 소재·부품 분야를 총괄하는 인적자원협의체를 지정(철강협회)하고, 가상공학 전문인력 등 융·복합 소재·부품 관련 인력 양성도 늘리기로 했다.공정측면에서는 고효율·친환경 공정기술 개발 및 확산을 통해 중소기업의 기술 생산성을 제고하고 소재·부품 생태계를 활성화할 계획이다. 현재 추진 중인 스마트공장을 계획대로 2020년까지 1만개로 확대하고, 그 과정에서 소재·부품 산업의 근간인 뿌리기업의 스마트화도 3단계 맞춤형 지원한다. CO2 배출을 저감하는 수소환원제철공법, 오존층을 파괴하지 않는 대체 냉매, 물을 사용하지 않는 친환경 염색기술 등 전세계적 환경규제 강화에 대한 대응력 제고를 위한 기술도 개발하기로 했다.이밖에 해외진출을 위해 소재·부품 기업의 글로벌 진출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한 지원도 강화한다.실력이 있어도 실적이 없어 해외진출에 애로를 겪는 중소기업을 위해 공기업?글로벌 기업과의 협업을 통해 트랙레코드를 확보할 수 있도록 협업과제를 발굴하여 우선 지원하는 한편, 글로벌 파트너링(Global Partnering)사업을 확대하고 유망 5대 부품분야를 중심으로 신규 프로젝트를 추진할 예정이다. GP사업 예산은 2016년 30억원에서 2017년 55억원으로 확대된다.산업부는 이 정책을 차질 없이 추진하기 위해 ‘신소재산업협의회’를 ‘신소재·부품산업협의회’로 확대 개편하고, 4차 산업혁명 5대 기반기술 관련 부품분과를 추가했다. 산업부 관계자는 "협의회를 통해 정책과제를 지속 발굴하고 추진상황을 모니터링하는 등 정책이 효과적으로 추진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세종=조슬기나 기자 seul@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정치경제부 조슬기나 기자 seul@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