활동가·단체장 “마을이 세상 살린다”한 목소리

광산구 공익활동지원센터에서 지난 20일 열린 ‘전국 마을론 컨퍼런스’에서 1부 ‘궁리! 공동체 협치를 주제로 참석자들이 토론하고 기념촬영을 하고있다.

"광산구 ‘전국 마을론 컨퍼런스’성황리에 막 내려"[아시아경제 노해섭 기자]전국의 마을활동가들과 기초자치단체장들이 ‘오월 광주’에 모였다. 보다 나은 세상과 삶을 마을에서 찾고 실천방안을 모색하기 위해서다. 20일 광주시 광산구 공익활동지원센터에서 가진 ‘전국 마을론(論) 컨퍼런스’는 시민과 함께 마을 운동을 펼쳐온 지역의 과정과 성과 그리고 과제를 공유하고 토론하는 열기로 가득했다.마을만들기지방정부협의회와 한국마을지원센터협의회가 공동 주최한 마을론 컨퍼런스는 1부 ‘궁리! 공동체 협치’를 주제로 한 마을활동가들의 주제발표와 토론, 2부 ‘나의 마을철학’을 주제로 한 기초자치단체장들의 발표와 토론 순으로 진행됐다.1부에서는 유창복 서울특별시 협치자문관이 ‘마을공동체 정책과 협력적 거버넌스’에 대한 기조발표에 나섰다. 유 자문관은 “국가주도와 시장중심을 넘어서는 대안적인 공공시스템으로 거버넌스(governance, 협치)가 등장했다”며 “사회구성원들의 능동적이고 주체적인 참여에 바탕해 시민, 국가, 시장, 공동체가 협력해 나갈 때 생활세계의 위기를 극복할 수 있다”고 말했다.유 자문관은 공공정책 독점, 전문적 경험, 권한과 자원 독점의 이유로 민과 관의 관계가 불균형한 현실에서 협치를 위한 방법으로 “정부와 행정이 시민에게 선제적으로 협치를 제안하고 협력을 요청”해야 한다고 밝혔다. 선제적 협치를 위해서 유 자문관은 “시민 참여 촉진 그리고 시민단체·민간 공공전문가·시민의 적극적 참여를 보장하면서 정책결정권을 대폭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두 번째 기조발표는 김재철 광주광역시 참여혁신단장이 했다. 김 단장은 광주의 마을공동체 형성을 위한 협업 과정과 성과를 소개했다. 김 단장은 “삶의 질 개선과 지역사회에 대한 신뢰를 높여 안심하고 행복하게 살 수 있게 하는 것이 공동체 도시의 핵심 가치이다”고 밝혔다. 김 단장은 “공직사회는 공동체 정책에 대한 인식을 높이기 위해 교육과 학습을 실시하고, 특히 현장탐방을 통해 공동체 주민과의 소통을 추진해야 한다”고 말했다.토론에 나선 이혜경 인천 마을공동체지원센터장은 “마을만들기는 주민들이 서로의 관계를 회복하고, 실천에 나서기 위한 시간이 필요하다”며 “자치력 향상과 주민의식 성장을 위한 일상 속 공론장을 확보가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이 센터장은 또 다양한 마을 안 단체 간의 협력과 참여 그리고 지방정부의 수평적 참여를 지속가능한 마을공동체의 조건으로 꼽았다.2부에서는 김영배 서울 성북구청장과 박우섭 인천 남구청장이 기조발제자로 나섰다.‘마을이 세상을 구한다. 성북이 꿈꾸는 마을시민의 시대’를 발표한 김 구청장은 “의사결정에 직접 참여하는 주민을 전체의 3%, 간접 참여층을 30%로 목표를 설정해 마을민주주의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이를 위해 김 구청장은 ▲마을총회 ▲추첨제 민주주의 ▲마을미디어 ▲마을시민교육센터 등을 성북구에서 진행한다고 소개했다.인천 남구는 민족 고유의 ‘두레’를 마을공동체 사업에 접목하고 있다. 박우섭 인천 남구청장은 “마을 단위인 통을 기반으로 하는 ‘통두레 운동’을 전개하고 있다”며 “주민이 주도적으로 마을문제를 고민, 해결하고 마을의 변화를 선도하는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뒷받침하고 있다”고 밝혔다.민형배 광주 광산구청장은 토론자로 나섰다. 민 구청장은 토론에서 “마을의 기능이 제대로 작동하면 갈등이나 이해 충돌 같은 것을 조정하는 법을 깨우치고, 스스로 해결할 수 있는 문제와 외부의 도움을 받아야 하는 사안을 구분해 처리하는 지혜를 길러준다”며 “마을의 기능이 사라진 도시에서 더 나은 삶을 가능케 하는 유일한 길은 더 많은 화폐를 확보하는 것인데, 나쁜 권력과 대형 자본은 사람을 화폐벌이로 내모는 현대도시의 기능을 좋아한다”고 밝혔다. 민 구청장은 “사람을 철저히 원자화시켜 통치하기에 좋고, 물건을 팔기에 안성맞춤이기 때문이다”고 이유를 설명했다.민 구청장은 “연대와 통합, 양보와 배려, 스스로 다스리는 자치의 원리를 도시 속 마을에 자리 잡게 하는 것이 마을만들기의 지향점”이라며 “광산구에게 마을은 더 많은 민주주의를 확보하는 거점이자 동력이며, 사람에게 이로운 경제활동이 일어나는 사회적 경제의 요람이다”고 소개했다.한편 마을론 컨퍼런스 1부에는 유창복 서울특별시 협치자문관, 김재철 광주광역시참여혁신단장이 발표하고 김제선 (사)풀뿌리사람들 상임이사, 윤종화(사)대구시민센터 상임이사, 이혜경 인천시마을공동체지원센터장이 토론자로 참여했다.2부에는 김영배 서울 성북구청장, 박우섭 인천 남구청장의 기조발표에 이어, 김승수 전주시장, 홍미영 인천 부평구청장, 민형배 광산구청장이 토론자로 나섰다.노해섭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전국팀 노해섭 ⓒ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