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로존 위기해법 정답은 발트 3국의 '긴축학 개론'

[아시아경제 박병희 기자]유로존(유로화 사용 17개국)의 유럽 위기 해법과 관련해 성장을 택할지 긴축을 택할지 논란이 한창이다.이런 가운데 미국에서 발간되는 경제 격주간지 포브스 온라인판은 '발트3국(리투아니아ㆍ에스토니아ㆍ라트비아)'을 예로 들며 긴축이 해법이라고 주장했다.2011년 에스토니아ㆍ라트비아ㆍ리투아니아의 성장률은 각각 7.6%, 5.5%, 5.9%다. 유로존 경제가 침체로 빠져든 2012년에도 발트3국은 3~5% 성장률을 기록했다.
2009년만 해도 발트3국 모두 국내총생산(GDP)이 14~18% 주는 극심한 경기침체를 겪었다. 포브스는 당시 발트3국이 강력한 긴축정책을 취하면서 침체에서 빠르게 벗어났다며 이는 지금 유로존에 교훈이 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전까지만 해도 발트3국은 지출을 흥청망청 늘렸다. 2002~2008년 발트3국 정부의 지출 증가율은 연평균 17%에 육박했다. 2009년 경제위기에 발트3국은 강력한 긴축으로 대응했다.라트비아 SEB 은행의 피터 코펠 이코노미스트는 "위기가 닥쳤을 때 라트비아는 어떻게 대응했는지 묻는다면 '긴축'이라는 한 단어로 답할 수 있다"고 말했다.발트3국 가운데 경제 규모가 가장 큰 리투아니아는 2008~2009년 성장률이 곤두박질치자 긴축 프로그램을 가동했다. 리투아니아 재정 계획의 80%는 지출을 축소하는 것이었다. 이는 다른 유럽 국가들보다 상당히 높은 비율이었다.안드리우스 쿠빌리우스 리투아니아 총리는 2008년 취임 후 공공 지출을 30%, 연금 지출을 11% 줄였다. 자기 급료는 45%나 깎았다. 결과는 성공적이었다. 글로벌 금융위기가 찾아오자 리투아니아의 경기침체는 덜하고 회복은 더 빨랐다. 2011년 국제통화기금(IMF)은 리투아니아의 재정적자 감축을 모범 사례로 칭찬했을 정도다.2005~2007년 평균 10%의 높은 경제성장률 기록한 라트비아도 2008년 금융위기로 성장률이 둔화하자 강력한 긴축에 나섰다. 2009년에는 GDP 9% 수준의 재정 지출을 줄였다.현재 라트비아는 유럽연합(EU) 회원국 중 성장률이 상대적으로 높다. 지난해 경제성장률 5%를 달성했다. 1인당 GDP는 사상 최고를 기록한 2007년 수준으로 돌아가고 있다. 라트비아는 지난해 9월 구제금융 자금 중 상당 부분을 갚았다. 내년까지는 전액 상환할 계획이다.라트비아의 정치도 안정적이다. 발디스 돔브로브스키스 총리는 강력한 긴축정책을 시행했지만 두 차례 재선에 성공했다. 정부가 강력한 긴축조치를 취했을 때 국민적 반발은 없었던 것이다. 유한 파르츠 경제장관은 당시 상황에 대해 "벌이가 없으면 비용부터 줄여야 한다는 것을 국민이 잘 알고 있었다"고 전했다.에스토니아는 4년 전만 해도 EU 회원국 가운데 세 번째로 위험한 나라였다. 그러나 지금은 핀란드ㆍ독일 다음으로 안전한 국가다. 현재 에스토니아의 부채 비율은 GDP 대비 6%에 불과하다. 독일이 81%, 그리스가 165%임을 감안하면 믿기 힘든 수준이다. 박병희 기자 nut@<ⓒ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국제부 박병희 기자 nut@ⓒ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