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술 안 마셨는데 술 냄새가" 캐나다서 발견된 희귀병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6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몸이 스스로 알코올 만드는 '자동양조증후군'
아프리카서 첫 보고…마땅한 치료법 없어

캐나다에서 술을 마시지 않았는데도 뱃속 미생물이 탄수화물을 발효시켜 알코올을 만들어내는 '자동양조증후군'(Auto-brewery syndrome) 사례가 확인됐다.


캐나다 토론토대 라헬 제우드 박사팀은 최근 캐나다 의학협회저널(CMAJ)에 게재한 보고서에서 자동양조증후군 진단을 받은 50대 여성 사례를 전했다.

"술 안 마셨는데 술 냄새가" 캐나다서 발견된 희귀병 서울 시내 한 대형마트 주류 판매대.[사진=연합뉴스]
AD

이 여성은 늘 입에서 술 냄새가 났고, 지속적인 어지럼증과 무기력함을 느꼈다. 어느 날은 아이들에게 점심을 만들어주다가 부엌 싱크대에 머리를 부딪히기도 했다. 식욕이 없어 음식을 거의 먹지 못했으며, 졸음과 무기력증으로 1~2주간 휴가를 내야 했다. 같은 증상은 1~2개월마다 재발했다.


과거 이 여성을 진료한 의사들은 여성이 종교적 이유로 술을 마시지 않는다고 말했고, 여성의 남편도 아내가 술을 마시지 않는다고 밝혔다.


여성이 응급실에 7번째 방문하고 나서야 응급의학과, 소화기내과, 감염내과, 정신과 의료진의 진단을 통해 자동양조증후군 진단이 내려졌다.


자동양조증후군은 장내 미생물이 탄수화물을 알코올로 발효하는 희소 질환이다. 맥주 발효에 쓰이는 출아형 효모, 칸디다균, 폐렴막대균 등이 그 과정에 관여하는 것이 확인됐지만, 정확한 원인은 현재까지 밝혀지지 않았다.


1948년 아프리카 우간다에 살던 5살 소년이 알 수 없는 이유로 장이 파열됐는데, 부검 결과 소년의 장 안에는 알코올 냄새가 나는 내용물이 가득 차 있었다는 보고로 처음 알려졌다.


이후 1952년 일본에서 처음 진단됐고, 1980년대 미국에서는 첫 사례가 확인됐다. 전 세계에서 지금까지 보고된 사례는 100건 미만으로, 술을 전혀 마시지 않았는데 음주운전으로 적발되는 사례가 드물게 발견되고 있다.


자동양조증후군은 표준 진단법도, 확실한 치료법도 없다. 연구팀은 항진균제 처방, 저탄수화물 식단 등 제한적인 치료법만 있을 뿐이라고 전했다.


연구팀은 이 환자에게 장내 미생물 보충을 위해 프로바이오틱스를 투여하고, 장내 미생물 이상 증식을 줄이기 위해 항생제 사용을 제한하며 경과를 관찰 중이다.


환자는 6개월 동안 증상이 없었다. 포도당 경구 섭취 후 30분~48시간 사이에 실시되는 검사에서도 에탄올이 검출되지 않았으며, 현재 탄수화물 섭취량을 점진적으로 늘려가고 있다.



제우드 박사는 "자동양조 증후군은 환자와 그 가족에게 상당한 사회적, 법적, 의학적 문제들을 초래한다"며 "이 환자 사례는 이 증후군에 대한 인식이 임상 진단과 관리에 매우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설명했다.




이소진 기자 adsurdism@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