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 꺼내면 바보…아무도 투자를 말하지 않는다

[아시아경제 전필수 기자, 조영신 기자, 진희정 기자, 정재우 기자]◆코스피가 코피 흘린다…거래대금 3개월째 100조 미만=증시가 좀체 침체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지수가 좁은 박스권을 벗어나지 못하면서 거래대금은 지난해 한창때와 비교해 반토막도 더 났다. 현물뿐 아니라 파생상품시장도 당국의 규제 이후 얼어붙었다. 한때 폭발적 인기를 끌던 주식워런트증권(ELW) 거래대금은 2년전의 1/40 수준으로 떨어졌다.한국거래소(KRX)에 따르면 지난달 코스피시장의 거래대금은 81조4128억원을 기록, 2008년 8월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이는 코스피지수가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던 지난해 4월 193조11791억원의 절반도 되지 않는 금액이다. 4월 99조3008억원 이후 3개월 연속 100조원 미만 월 거래대금 기록도 세웠다. 코스피시장의 월 거래대금이 100조원 미만을 3개월 연속으로 기록한 것은 2007년 5월 이후 첫 기록이다. 일정기간중 거래대금을 해당기간중 평균시가총액으로 나눈 시가총액회전율은 5년내 최저 수준이다. 코스피시장의 시가총액회전율은 지난 4월 8.64%를 기록한데 이어 5, 6월 연속으로 최저치 기록을 갈아치웠다. 거래량을 상장주식수로 나눈 상장주식회전율도 지난 2월 37.95%에서 지난달 20.55%까지 감소했다. 최악의 거래부진이 이어지면서 주식 매매 수수료로 이익을 올리는 증권업계의 실적도 직격탄을 맞고 있다. 증권업체들이 극심한 경쟁 속에 거래 수수료율 인하 경쟁을 벌여왔는 데도 거래대금이 받쳐주지 않기 때문이다. 증권가에서는 대형사 지점들조차 손익분기점(BEP)을 맞추지 못하는 곳이 대부분이란 우려까지 나오는 실정이다. 일부 증권사의 경우, 지점의 70~80%가 적자를 기록해 구조조정을 걱정하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현물시장의 대체시장으로 한때 각광받던 파생상품 시장은 감독당국의 규제강화에 시장이 고사상태다. 2010년 10월, 하루대금 2조7700억원을 돌파했던 ELW 시장은 지난 4일 거래대금 693억원을 기록했다. 지난달 18일에는 거래대금이 427억원에 불과했다. 스캘퍼(초단기 거래자)들에 대한 전용선 제공으로 증권사 대표들이 줄줄이 법정에 선 후폭풍이었다.FX마진 거래 역시 마찬가지다. 지난해 9월까지 월 600억달러 이상 거래되던 시장이었지만 이후 시장이 위축되면서 지난 4월 거래대금 200억달러선이 무너졌다. 5월 거래대금은 140억달러였다. 지난해 하반기부터 당국이 불공정거래 단속을 강화한데 이어 올초 증거금률을 5%에서 10%로 올린 결과였다. 이 때문에 대우증권, 미래에셋증권 등이 이 시장에서 철수했다.◆PF대출은 개점휴업…부실·연체율 높아 고사위기=금융권의 프로젝트 파이낸싱(PF) 시장이 개점휴업상태다. 융권 PF시장이 죽었다고 해도 과언은 아니다.한때 황금알을 낳는 거위로 불리던 금융권 FP시장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와 함께 국내 부동산 및 건설경기가 침체되면서 동반 침몰했다. PF시장 침몰은 제2금융권인 저축은행의 부실을 초래하는 등 사회적 문제로까지 번졌다.제1금융권이 은행 역시 부동산 및 건설경기 침체에 따른 PF시장 악화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부실채권 정리에 따른 이익감소 등 톡톡히 부동산 및 건설경기 침체 따른 비용을 치렀다. 은행권 PF대출 잔액은 최정점이던 2008년에 비해 절반 가까이 감소한 상태다.2011년 말 기준 은행권 PF대출 잔액은 29조9000억원으로 2008년 말(52조5000억원)에 비해 22조6000억원이나 줄었다. 은행권 PF 대출잔액은 2006년 25조9000억원을 시작으로 2007년 41조8000억원, 2008년 52조5000억원으로 매년 껑충껑충 뛰었다.하지만 미국발 글로벌금융위기가 터지면서 PF대출잔액은 2009년 51조원, 2010년 38조7000억원, 2011년 29조9000억원 등 곤두박질쳤다. 은행권의 고통은 아직 남아 있다. 2011년말 기준 은행권 부실채권비율은 8.14%다. 6.44%까지 치솟았던 2010년에 비해 크게 감소했지만 여전히 부실채권비율은 높다. 연체율 또한 4.78%로 안심하기 이르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은행권이 좀처럼 PF시장에 뛰어들지 못하고 있다.더욱이 유럽발 재정위기로 부동산 및 건설경기 침체가 당분간 지속될 가능성이 커 PF시장에 눈길조차 주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PF시장이 뇌사상태에 빠지면서 은행권의 고수익원이 사라졌다.  저축은행업계의 PF시장은 말할 것도 없다. 저축은행 업계가 이미 두차례에 걸친 대형 구조조정을 당하면서 순위 10위내의 저축은행 가운데 2∼3개만 근근이 명맥을 유지하고 있다. 솔로몬 등 업계 1,2위를 다투던 저축은행들은 영업정지를 당하거나 타 금융지주회사에 인수당했다. 저축은행이 영위하던 PF 시장 자체도 급속히 시장을 상실하고 있다. ◆발행시장 메말라간다…IPO 투자자 구하기 하늘의 별따기=증시가 얼어붙으면서 기업의 직접 자금조달 창구인 ‘발행시장’도 매말라가고 있다. 회사채를 발행하거나 은행을 통하지 않고 기업공개(IPO), 유상증자 등의 방식으로 주식을 발행해 증권시장에서 자금을 조달하는 일이 점점 어려워지고 있다. 유럽발 재정위기 등으로 증시가 불안정해지면서 기업들이 주식발행을 꺼리고, 투자자도 증시를 외면하고 있기 때문이다. 거래대금 감소로 실적이 악화될 증권사 입장에서는 발행시장의 고사가 또 다른 타격이 될 전망이다.9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 5월까지 IPO 규모는 2032억원에 그쳤다. 그나마 5월에는 IPO가 한 건도 없었다. 지난해 같은 기간 기록한 9991억원의 5분의 1 수준이다. 삼성생명, 대한생명 등 대형 IPO가 줄을 이었던 2010년에는 IPO 규모가 10조908억원을 기록했다. 올해 IPO실적과는 비교가 불가능한 수준이다. 2010년 상반기 IPO규모는 2조4455억원에 달했다.공모 건수도 8건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29건에 크게 못 미쳤다. 기업들이 그만큼 기업공개를 꺼리고 있다는 얘기다. 동시에 투자자를 구하기 어려워 졌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글로벌 금융위기가 전 세계를 강타했던 2009년에도 IPO 규모는 5월까지 4346억원을 기록해 올해의 두 배에 달했다.유상증자는 오히려 사정이 더 나쁘다. 올해 5월까지 유상증자 규모는 5440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4조4636억원에서 87.8%나 급감한 것으로 집계됐다. 2010년과 2009년 5월까지 유상증자 금액은 각각 1조4967억원, 3조8604억원을 기록했다. 글로벌 금융위기가 발발한 2008년 이후 1~5월 유상증자 금액이 1조4000억원 밑으로 떨어진 것은 올해가 처음이다.발행 건수를 보면 각 건당 규모도 크게 위축됐음을 알 수 있다. 작년 5월까지 유상증자는 총 37건으로 건당 유상증자 금액은 1206억원을 기록했다. 하지만 올해 같은 기간 유상증자는 총 21건으로 건당 유상증자 금액은 259억원에 불과했다. 전체 규모도 줄었지만 각 유상증자의 규모도 크게 줄어든 셈이고, 그만큼 기업이 증시를 통해 자금을 조달하기 어려워졌다는 얘기다.기업은 신규 사업에 투자하거나 운영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자금이 필요할 때 은행에 돈을 빌리거나 회사채를 발행하지 않고, IPO나 유상증자를 통한 주식 발행으로 자금을 조달할 수 있다. 기업이 이렇게 주식 발행으로 자금을 조달하는 곳을 발행시장이라고 한다.◆주택, 사지도 팔지도 않는다…강남3구 거래량마저도 최저점=주택시장은 거래가 실종되면서 빈사 상태에 빠져 있다. 특히 투기지역 해제로 시장이 정상화될 것이란 기대와 달리 강남ㆍ서초ㆍ송파 등 서울 강남3구는 거래가 더 쪼그라들었다.부동산 정보업체 부동산써브에 따르면 올 상반기 아파트 거래량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7%나 줄었다. 수도권 거래량은 6만5656건으로 전년 대비 40%, 지방은 12만8676건으로 36% 감소했다. 강남3구 거래량은 3229건으로 2008년 이후 최저점으로 내려앉았다.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서도 40.3%나 줄어들었다. 특히 서초구의 거래감소가 두드러진다. 서초구는 759건이 거래돼 전년 동기 1734건보다 57% 급감했다.문제는 거래 위축현상이 하반기에도 내내 지속될 것이라는 전문가들의 전망이 많다는 것이다. 집값이 추가로 하락할 것이란 기대감이 소비자들에게 광범위하게 퍼지면서 매수심리가 극도로 허약해져서다. 수도권의 침체가 이어지는 가운데 지방에서도 점차 활력을 잃어가며 매매시장은 침체의 골이 더욱 깊어지는 모습이다. 김덕례 주택금융공사 연구위원은 "시장전망에 대한 수요자들의 판단이 호전될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며 "분양과 입주물량이 적잖이 대기중인 데다 하우스푸어들이 내놓는 급매물이 늘어나며 분위기를 경색시킬 가능성이 높다"고 예상했다. 거래가 위축되다보니 가격도 하락세다. 닥터아파트가 조사한 수도권 아파트 매매가격은 올 1월 첫째 주부터 27주 연속 내리막이다. 강남구는 1월 초 대비 3.30% 하락했으며, 서초구는 -1.95%, 송파구는 -3.29%의 변동률을 보였다. 강북구는 -1.06%, 노원구는 -2.29%하락했다. 이로인해 주택을 담보로 대출을 받아 집을 샀다가 집값이 떨어지고 이자율은 올라 생활비에 허덕이는 '하우스 푸어'가 속출하고 있다. 이에 여당 주도로 부동산시장을 정상화하기 위한 카드를 만지작거리고 있어 분위기가 전환될 수 있을지에 관심이 모아진다. 새누리당은 취득세 감면과 다주택자 양도세 중과제도 폐지, 분양가상한제 폐지 등을 골자로 한 대책을 만들겠다고 밝혔다.하지만 전문가들은 이런 대책도 유럽발 재정위기 등의 변수로 인해 수요를 충분히 자극하기는 힘들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박원갑 국민은행 수석팀장은 "거래는 시장의 기본적인 기능인데 지금은 기본이 상실돼 있다"며 "주택시장이 연착륙하도록 유도하는 정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전필수 기자 philsu@조영신 기자 ascho@진희정 기자 hj_jin@정재우 기자 jjw@<ⓒ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증권부 전필수 기자 philsu@금융부 조영신 기자 ascho@건설부동산부 진희정 기자 hj_jin@증권부 정재우 기자 jjw@ⓒ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