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효영 교수
[아시아경제 김철현 기자]성대 이효영 교수팀이 '단분자막(monolayer)'을 이용해 비휘발성 분자메모리 소자 제작에 성공했다. 이번 연구 성과는 다양한 형태의 차세대 비휘발성 분자메모리 소자 개발로 이어질 것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교육과학기술부(장관 안병만)는 성균관대 화학과 이효영 교수팀이 분자 메모리 소재로 3~4nm(나노미터) 길이의 유기금속 단분자막을 직접 설계·합성해 단분자막 비휘발성 분자메모리 소자를 제작하는 데 성공했다고 8일 밝혔다.이번 연구는 교과부와 한국연구재단(이사장 박찬모)이 추진하고 있는 '리더연구자지원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으며 연구 결과는 화학분야의 세계적 권위지인 '앙게반테 케미(Angewandte Chemie)지' 1일자 인터넷판에 게재됐다. 연구팀에 따르면 분자전자소자는 무기반도체 기술의 뒤를 이을 가능성이 있는 유망분야로 '단분자막'을 이용할 경우 단위 면적당 초고밀도의 집적이 가능하지만 전극제작 시 금속 입자의 침투에 의한 전기단락(short)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이 교수팀 관계자는 "상부 금속전극제작 시 이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전도성 유기 물질을 단분자막 유기금속화합물과 상부 금속전극 사이에 배치해 전기단락 현상을 막고, 소자 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이효영 교수는 "메모리 시장을 지배하는 우리나라가 차세대 메모리 분야에서 계속 선두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형태의 차세대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개발에 연구를 집중시켜야 한다"며 "이번 연구는 집적화가 가능한 단분자막을 이용한 분자 메모리 소자 구현에 대한 가능성을 최초로 확인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철현 기자 kch@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정보과학부 김철현 기자 kch@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