①믿을 곳은 결국 '수도권'
인서울 매입 비중 ‘곱절’로 증가…2030의 서울 러시
"서울 불패" 굳건한 믿음→작아진 면적, 많아진 대출
"서울 못 가면 경기도로"…탈서울 현상도 동시에
인서울·탈서울 공존 속 수도권 집중 강화
윤석열 정부 2년 동안 20·30세대의 내 집 마련 흐름은 크게 두 갈래로 나뉘었다. '작아도 서울' 혹은 '싸고 혜택 많은 경기도'이다. 선택은 달랐지만 이들의 발걸음은 수도권으로 향했다. 지방은 외면했다. 문재인 정부보다도 더 강한 수도권 쏠림 현상이 나타나게 됐다. 집을 자산 증식의 수단으로 보는 젊은 층이 많아진 가운데 부동산 정책에 대한 신뢰도가 무너지자 집값 상승의 수혜를 노린 전략적 선택의 결과로 분석된다.
2030 내 집도 '인서울' 목표
15일 한국부동산원의 '연령대별 아파트 거래현황'에 따르면 2030의 서울 아파트 매입 비중은 윤석열 정부가 출범한 2022년 6.14%에서 지난해 13.39%로 뛰었다. 2년 사이 17개 광역지방자치단체 중 증가 폭이 가장 높은 지역이 서울이었다. 2019년 문재인 정부 시절 14.81%로 정점을 찍었던 2030의 서울 아파트 매입 비중은 2020년 12.84%, 2021년 10.00%로 하락했다. 정권 교체기였던 2022년 6.14%까지 주저앉았지만 윤석열 정부에서 빠르게 회복했다.
서울 아파트에 대한 2030의 선호는 면적 통계에도 고스란히 나타난다. 지난해 서울에서 2030이 매입한 아파트의 평균 면적은 68.1㎡로, 17개 광역지자체 중 가장 작았다. '국민 평형'인 84㎡보다 훨씬 작은 수준이다. 은행 대출을 끌어 쓸 수밖에 없는 현실이지만, 이들에게 서울은 여전히 '견고한 자산'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함영진 우리은행 부동산 리서치랩장은 "그간 경험을 기반으로 안전자산에 대한 선호가 서울 쏠림 현상으로 드러난 것"이라며 "2023년 전국적으로 아파트 가격이 내려갔을 당시에도 서울은 상대적으로 '가격 방어'에 성공하면서 그런 믿음이 더욱 강해졌다"고 분석했다.
2030의 내 집 마련 트렌드에 주목해야 하는 것은 아파트 시장의 '큰손'이어서다. 지난해 전국 아파트를 가장 많이 매입한 연령대가 20대에서 30대였다. 1년 동안 14만8918가구를 사들였다. 같은 기간 전체 아파트 거래 건수 49만2052건 중에서 30.2%의 비중이다. 그다음 40대(12만8920건·26.2%), 50대(10만5013건·21.3%), 60대(6만9418건·14.1%), 70대 이상(3만991건·6.3%)의 순이다. 2030은 어릴 때부터 아파트에서 생활한 경우가 많다. 주거 형태 중에서 아파트 선호도가 매우 높다.
노른자 대신 흰자, 탈서울도 괜찮아
서울 입성이 어려운 2030은 경기·인천 등 수도권 주변으로 눈을 돌렸다. 지난해 2030의 경기도 아파트 매입 비중은 28.83%에 달했다. 2년 전(23.59%)보다 5.24%포인트 늘어난 수치다. 경기도는 한국부동산원이 2019년 관련 통계를 작성한 이후 매입 규모만 보면 매년 2030이 가장 아파트를 많이 산 지역이기도 하다. 인천(2024년 6.23%)까지 합쳐서 보면 2030의 수도권 아파트 매입 비중은 2022년 35.17%에서 2024년 48.45%로 껑충 뛰었다. 반대로 지방 아파트 매입 비중은 2022년 64.83%에서 2024년 51.55%로 하락했다.
전문가들은 이를 두고 "사실상 '제2의 인서울' 전략"이라고 설명한다. 박원갑 KB국민은행 부동산 수석 전문위원은 "현실적으로 아파트값이 비싼 서울은 못 들어가는 2030이 대체재로 경기도를 선택하는 '탈서울' 현상이 나타난 것"이라고 했다. 함 랩장은 "서울을 가지 못한다면 교통이 편리하고 생활 인프라가 탄탄하며, 분양가상한제나 생애 최초 특별공급 등 제도적 혜택을 누릴 수 있는 경기도 지역으로 이동하는 현상이 계속 나타나고 있는 것"이라고 했다.
부동산 정책 신뢰도 잃은 정부
'인서울'이든 '탈서울'이든 2030이 수도권에 집중적으로 내 집을 마련한 것은 '정부의 부동산 정책에 대한 불신'에서 비롯된 현상이라는 것이 전문가들의 대체적인 지적이다. 2030이 정부가 추구하는 집값 하향 안정화에 대한 기대감이 없고, 언젠가 오를 집값의 수혜를 보기 위한 '똘똘한 한 채' 전략에 몰두하고 있다는 것이다.
윤석열 정부는 규제 완화 기조가 오락가락했고 정책의 예측 가능성이 작아 수요자들의 불안을 키웠다. 여소야대 국면에서 정책이 번번이 좌초하기도 했다. 문재인 정부에 이어 다주택자 규제가 이어지면서 선호 지역과 비선호 지역 간의 양극화는 갈수록 심화했다. 특히 2023년 하반기부터 서울 아파트값이 다시 오르면서 "지금이라도 사야 한다"는 조급함이 더해졌다.
지금 뜨는 뉴스
양지영 신한투자증권 자산관리컨설팅부수석은 "현재의 2030은 부동산 공부에 가장 적극적인 세대"라며 "유튜브, 커뮤니티 등을 통해 정보를 빠르게 습득하고, 정책이 아닌 시장을 중심으로 움직이고 있다"고 분석했다.
오유교 기자 5625@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