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기 효과 반영된 지표보다는 실물경기 회복이 관건
지난 6월 국내은행들의 대출채권 연체율이 크게 떨어졌지만 은행들의 대출태도는 크게 변화가 없을 전망이다.반기나 연말 결산을 앞두고 대손상각이나 부실채권 매각 등을 늘리는 반기ㆍ연말효과가 반영된데다 실물경기가 회복세에 접어들었다고 확신할 수 있는 분위기가 아니기 때문이다. 22일 금융감독원 및 한국은행, 은행업계에 따르면 6월 원화대출 연체율이 전월말 대비 0.41%포인트나 하락, 지난해 12월 말 이 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전국어음부도율도 0.10%로 금융위기가 발발한 지난해 9월 이 후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했다. 하지만 은행들은 이 같은 추세를 경기회복의 본격적인 신호탄으로 해석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이에 따라 대출태도 역시 종전보다 유연하게 대처하기 보다는 리스크 관리를 지속해 나갈 방침이다. 시중은행의 한 관계자는 "대기업의 경우 실질투자가 증가하면 대출도 동반해서 늘어날 수 있지만 최근 기업의 투자부진 추세를 볼 때 대폭적인 대출 증가를 기대할 수 없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중소기업대출은 상반기 정부 시책에 맞춰 크게 확대됐지만 하반기 리스크를 떠안고 추가적으로 대출을 대폭 늘릴 정도로 리스크가 완화됐다고 판단하지 않는다"고 덧붙였다. 다만, 개인 주택담보대출의 경우 실수요자 중심으로 소폭 증가세를 유지하겠지만 이 또한 집값 추가상승시 총부채상환비율(DTI)규제가 나올 수 있어 조심스런 상황이라는 것이 은행업계의 공통된 의견이다. 다른 은행 관계자 역시 "연체율이 떨어지고 부도율이 낮아졌다고 해서 대출기준 완화를 기대할 수 없다"며 "종전 방침대로 장기성장동력을 찾는데 주력할 방침"이라고 전했다. 시중은행들이 이 같은 판단을 하는 것은 반기 또는 연말 효과로 인해 6월 연체률 급락을 실물경기의 호전과 직결시키기 힘들다고 보기 때문이다. 지난해 12월 말에도 연체율은 그 동안 상승세를 뒤로 하고 전월대비 0.1%포인트 하락했고 3월의 경우에도 분기 결산 효과로 인해 연체율은 전월 1.67%에서 1.45%로 떨어진 바 있다. 부도율 역시 지난 10년 간 6월이 전월보다 높았던 적은 2003년과 2006년, 2007년 3년에 불과하다. 시중은행의 한 고위 관계자는 "연체율 하락이 리스크 완화로 직결되는 상황은 아니라고 본다"며 "향후 실물경기 호전에 따른 투자증가가 은행의 대출증대 여부를 결정지을 것"이라고 내다봤다.박성호 기자 vicman1203@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금융부 박성호 기자 vicman1203@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